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한국도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한국의 외교,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흘러나왔다.
그러나 현재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어 G7 정상회의 초청이 한국 외교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초 다음 달로 예정됐던 G7 정상회의를 9월경으로 연기하고, 한국도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트럼트 대통령은 현재의 G7 형식이 매우 구식의 국가 그룹이라고 지적하며 한국, 호주, 러시아, 인도 등 비(非) G7 국가들을 초청하고 싶다고 말했다. 현재 G7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이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와 청와대 측은 31일 G7 정상회의 초청과 관련해 “사전 통보를 받지 못했다”며 “앞으로 미국 측과 협의해 나가야 할 부분”이라고만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非 G7 국가 초청이 향후 새로운 선진국 클럽인 주요 11개국(G11)을 만들겠다는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G7+’ 확대 정상회의를 열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지는 불명확하다.
그러나 그가 현재 G7 형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만큼 새로운 선진국 클럽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이번 초청으로 새로운 선진국 클럽에 한국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만약 한국이 새로운 선진국 클럽에 포함된다면 향후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어, 한반도 문제 등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문제를 논의하고 싶다며 G7 확대 정상회의를 거론한 것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은 격해진 미·중 갈등 속에서 명확한 해법없이 전략성 모호성을 취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견제 수단’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G7 확대 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되면 중국이 반발, 한·중 관계도 틀어질 수 있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한국 경제와 외교적인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해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우호관계이자 혈맹관계인 북한과 중국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정상 간의 구두 친서 교환으로 한층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북제재, 코로나19 등으로 경제위기에 처한 북한은 한국정부의 지속된 협력 제안은 무시한 채 중국과의 협력 강화에 열을 올리는 듯하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두고 대립하는 미·중 사이 말을 아끼는 한국과 달리 북한은 노골적으로 중국을 지지하고 나섰다.
30일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는 북한 외무성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홍콩보안법’ 초안 의결을 합법적인 조치로 평가하고, 중국 정부에 지지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홍콩보안법 관련 중앙통신의 기자 질문에 “중국이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3기 제3차 회의에서 중국의 헌법과 홍콩기본법에 근거에 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전을 수호하기 위한 법률제도 및 집행체계를 수립하고 완비할 데 관한 결정을 채택한 것은 합법적인 조치”라고 답했다.
그러나 현재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어 G7 정상회의 초청이 한국 외교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초 다음 달로 예정됐던 G7 정상회의를 9월경으로 연기하고, 한국도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트럼트 대통령은 현재의 G7 형식이 매우 구식의 국가 그룹이라고 지적하며 한국, 호주, 러시아, 인도 등 비(非) G7 국가들을 초청하고 싶다고 말했다. 현재 G7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非 G7 국가 초청이 향후 새로운 선진국 클럽인 주요 11개국(G11)을 만들겠다는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G7+’ 확대 정상회의를 열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지는 불명확하다.
그러나 그가 현재 G7 형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만큼 새로운 선진국 클럽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이번 초청으로 새로운 선진국 클럽에 한국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만약 한국이 새로운 선진국 클럽에 포함된다면 향후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어, 한반도 문제 등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문제를 논의하고 싶다며 G7 확대 정상회의를 거론한 것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은 격해진 미·중 갈등 속에서 명확한 해법없이 전략성 모호성을 취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견제 수단’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G7 확대 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되면 중국이 반발, 한·중 관계도 틀어질 수 있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한국 경제와 외교적인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해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우호관계이자 혈맹관계인 북한과 중국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정상 간의 구두 친서 교환으로 한층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북제재, 코로나19 등으로 경제위기에 처한 북한은 한국정부의 지속된 협력 제안은 무시한 채 중국과의 협력 강화에 열을 올리는 듯하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두고 대립하는 미·중 사이 말을 아끼는 한국과 달리 북한은 노골적으로 중국을 지지하고 나섰다.
30일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는 북한 외무성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홍콩보안법’ 초안 의결을 합법적인 조치로 평가하고, 중국 정부에 지지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홍콩보안법 관련 중앙통신의 기자 질문에 “중국이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3기 제3차 회의에서 중국의 헌법과 홍콩기본법에 근거에 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전을 수호하기 위한 법률제도 및 집행체계를 수립하고 완비할 데 관한 결정을 채택한 것은 합법적인 조치”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