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2115달러(약 3743만원)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직전년도 3만3564달러(3693만원)에서 4.3% 감소한 수준이다.
이같은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치다. 한은 측은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높지 않은 상황에 원화 약세가 겹쳐 달러화 기준 소득을 끌어내렸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2017년에 3만1734달러로,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열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값이다. 3만 달러가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꼽힌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381달러(2026만원)로, 2018년(1만8063달러)보다 3.8% 감소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뜻한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2.0%다. 이는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동일하다. 2018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난해 명목 GDP는 1919조원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저조했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포인트 올랐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급여, 즉 피용자보수를 국민소득(NI)으로 나눠 얻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