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50년 간 전 국토의 면적이 23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의도면적 821배에 달하는 숫자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 '2020년 지적(地籍)통계연보'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지적통계는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면적 등을 기초로 행정구역(시·도 및 시·군·구)별, 지목(토지의 종류)별, 소유구분별 등 우리나라의 총 면적 및 필지 수를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1970년 처음 작성돼 올해로 공표 50주년을 맞았다.
'2020년 지적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지적공부에 등록된 필지 수는 3899만3000필지다. 면적은 10만401㎢로, 최초 작성된 1970년 지적통계와 비교하면 전 국토 면적이 2382㎢ 증가했다.
이는 간척사업, 농업개발사업, 공유수면매립 등 각종 개발사업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0년간 주요 지목별 면적 증감추이를 살펴본 결과, 산림 및 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5386㎢(여의도 면적의 1857배) 감소했고 생활용지(대·창고용지·공장용지)는 3119㎢(여의도 면적의 1076배) 증가했다. 도로 및 철도용지는 1878㎢(여의도 면적의 648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70년대 이후 산업화 및 도시화를 겪으면서 우리나라 국토 이용 또한 시대의 흐름과 함께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면적이 가장 큰 광역자치단체는 경상북도 1만9033㎢(19.0%)이고, 지방자치단체는 강원 홍천군 1820㎢(1.8%)으로 나타났다.
지목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목은 임야(63%)고 답(畓)이 11.1%, 전(田)이 7%다. 즉, 산림 및 농경지가 우리나라 면적의 약 81%를 차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주민등록인구현황' 자료와 '2020년 지적통계'를 비교해본 결과,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서울, 부산, 광주 순으로 인구밀도가 높았고,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서울 양천, 서울 동대문, 서울 동작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제도과 손종영 과장은 "지적통계가 각종 토지 관련 정책수립, 조세부과 및 학술연구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 기관에 배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