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원 본인과 배우자의 주택 보유 현황을 보면, 집을 2채 이상 보유한 의원은 88명(29%)이고, 이 중 3주택 이상 다주택자도 17명(6%) 포함됐다. 무주택자는 50명(17%)에 불과했다.
후보자 등록 당시 정당을 기준으로 한 정당별 다주택자 비율은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40%·41명), 열린민주당(33%·1명),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24%·43명), 정의당(16%·1명), 국민의당(0%) 순으로 높았다.
무주택자 비율은 국민의당(67%·2명), 정의당(33%·2명),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20%·36명),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9%·9명), 열린민주당(0%) 순이었다.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선관위에 신고된 의원 1인당 평균 부동산재산은 13억5000만원으로,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가구당 평균(3억원)의 4.5배에 달했다.
정당별 의원의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미래통합당 소속 의원이 20억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열린민주당(11억3000만원), 더불어민주당(9억8000만원), 국민의당(8억1000만원), 정의당(4억2000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의원 1인당 부동산 및 금융자산을 포함한 전체 평균 자산은 약 21억8000만원으로, 이는 가구당 평균 자산인 4억3000만원의 5배에 달한다.
경실련에 따르면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21대 국회의원은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397억8000만원)이다.
박 의원은 서울 마포구에 신고액 기준 383억원 규모의 빌딩과 경기도 고양시와 파주시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박덕흠 미래통합당 의원(288억8000만원), 백종헌 미래통합당 의원(170억1000만원), 김은혜 미래통합당 의원(168억5000만원)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최근 명의신탁 의혹 제기로 더불어시민당에서 제명된 양정숙 무소속 의원은 58억9000만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했다. 부동산 재산 순위로는 10번째다.
부동산재산 규모 상위 10명으로는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에서는 3명,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에서 7명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에 따르면 21대 의원 중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이개호 의원이었다.
이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광주와 담양에 5채의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21대 국회의원 상임위 배정 시 이해 충돌방지를 위해 최소한 부동산부자, 다주택자들은 국토교통위와 기획재정위 등에 배정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