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7일 오후 5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앞서 중대본은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 사례에서 허위 출입자 명부 등으로 출입여부 확인에 어려움을 겪자 전자출입명부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전자출입명부는 유흥주점 등 고위험시설 이용 시 정보통신기술(QR코드)을 활용해 출입을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중대본이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서울과 인천, 대전 16개 시범지정시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범사업 중간 평가 결과, 16개 시범지정시설에서 3170명의 출입 기록이 전자적으로 수집됐다.
박능후 1차장은 브리핑에서 “시범사업을 분석해본 결과, 전자출입명부의 이용 방법이 아직 널리 알려지지 못해 일부 이용률이 저조한 문제가 있었다”며 “이에 보건복지부는 홍보영상과 카드 뉴스 등을 통해 전자출입명부 이용 방법, 정보처리절차 등을 지속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는 8일과 9일 이틀에 걸쳐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기관 담당자 대상 합동 교육(영상회의)을 실시해 담당자들의 전자출입명부 관련 이해도를 높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일부 고령층이 전자명부 사용에 어려움을 겪자 현행 네이버(NAVER) 외에 PASS(이동통신사 통합 간편 본인 확인 서비스) 등 QR코드 발급회사를 확대하고, QR코드 관련 시스템과 앱을 지속적으로 개선키로 결정했다.
박 1차장은 “오는 10일부터 전국적으로 전자출입명부 사업을 개시하고, 실효적인 제도 운영을 위해 전자출입명부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의무대상시설에 적용 사실을 사전 통보하겠다”며 “본 사업 도입 후 오는 30일까지는 계도기간을 부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