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포항시 음식물처리업체인 신영산만산업 노동조합은 8일 오전 11시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정책에 따라 정당한 고용승계가 이뤄질 수 있게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라"고 촉구했다. [사진=최주호 기자]
신영산만산업 노조는 “앞에서는 지역경제 살리자며 혈세 및 자금의 역외유출을 막자고 포항사랑상품권 발행, 코로나19 지원금, 혈세투입 외치는 것은 치부를 감추기 위한 정치적 선동”이라며, “지역기업 배척, 저질의 일자리 만들기, 실업자 양성, 혈세의 역외유출을 앞장서서 선도하는 시장과 이를 묵인하는 시의회는 각성하라”고 주장했다.
특히, “어정쩡한 행정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외부에 위탁 처리하는 것은 매년 46억 원 가량의 시민 혈세를 역외로 유출하는 것"이라며 "이는 포항의 세수가 줄어들고 시민의 고통은 커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외부위탁 처리비용으로 전 직원을 정부의 단계별 정규직 전환계획에 따라 현재 3단계인 민간위탁의 직접고용을 추진해 민간용역회사와 계약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직접고용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그 동안 추위와 더위, 비와 눈이 와도 위험을 무릅쓰고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회사와 시의 지시에 따라 자긍심을 가지고 업무에 최선을 다해 왔다"며 "하지만 결과는 59명의 직원 중 수거운반 38명만 고용승계하고 그것도 현재 정규직을 1년마다 갱신하는 비정규직으로 만들어 고용불안을 부추기고 21명은 하루아침에 실직자가 된다"고 주장했다.
최영주 신영산만산업 노조위원장은 "이는 정부정책에 역행하는 것으로 영산만산업 직원들은 직원이기 이전에 포항시민으로 지진,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포항의 혈세와 자금이 외부로 유출된다면 포항에는 희망이 사라진다"며 "시와 시의회는 이제라도 정부정책에 따라 정당한 고용승계가 이뤄질 수 있게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이 같은 노동자의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보다 강력한 투쟁과 무기한 파업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지난 4월 지역 내 음식물쓰레기 수거 처리 용역시행을 위한 공개경쟁 입찰을 벌여 3개 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현 수거·처리업체인 영산만산업(주)을 우선 사업자로 선정했지만 5월 폐기물 용역 적격심사를 벌여 영산만산업을 '해당 용역 과업을 수행할 요건 불충족'으로 부적격 통보하고 후순위인 청주의 A업체를 최종 대행자로 선정했다.
이에 영산만산업은 사업자 선정과정의 부적격성을 지적하며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노조는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과 고용불안을 초래하는 역외 사업자 선정을 반대한다며 집단시위를 벌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