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하는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사진=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지난 6일 숨진 마포구 쉼터 ‘평화의 우리집’ 소장을 추모하며 정의연에 대해 앞다투어 취재한 언론을 비판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10일 정오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43차 수요시위에서 “고인의 죽음 뒤에도 각종 예단과 억측, 무분별한 의혹 제기, 책임 전가와 신상털이, 유가족과 활동가들에 대한 무분별한 접근과 불법 촬영까지 언론의 취재행태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검은색 상복을 입고 시위에 참석한 이 이사장은 “(언론이) 사회적 살인행위에 반성은커녕 카메라와 펜으로 다시 사자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일삼고 있다”라고도 말했다.
이 이사장은 검찰의 과잉 수사도 지적했다. 이 이사장은 “고인이 검찰의 과잉 수사, 언론의 무차별한 취재 경쟁, 반인권적 취재 행태에 힘겨워하셨고 불안해하셨음에도 쉼터에 계신 길원옥 할머니의 안위를 우선시했다”고 고인을 추모했다.
또한, 고인을 향해 “당신을 잃은 우리 모두는 죄인”이라며 “피해자와 운동의 뒤에서 묵묵히 자신의 일에 충실하셨던 소장님의 역할을 너무도 당연시했던 저희를 용서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시위 참가자들은 일본의 사죄와 배상 등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수요시위를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시위를 주관한 한국여신학자협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우리가 피해 당사자가 아님에도 일본군 성노예 문제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까닭은 해당 문제가 단순히 피해자 개인과 가해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던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결코 수요시위를 중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넘어가지만, 여전히 가해자 일본 정부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사죄 배상하지 않고 있다”면서 “고령이신 피해자 할머니들이 해결을 보지 못하고 떠나가신다 해도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수요시위를 계속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