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원 회장은 11일 그룹 내 포털을 통해 "두산중공업이 3조원 이상 재무구조 개선을 목표로 연내 1조원 규모 유상증자와 자본확충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산그룹은 앞서 두산중공업 경영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채권단에서 3조6000억원을 긴급 지원받고, 그 대신 3조원 규모 자구안을 마련한 바 있다.
박 회장은 "두산중공업이 지속가능한 경영체계를 갖추기 위해 사업구조 개편과 재무구조 획기적 개선이라는 과제가 있다"며 "이 방향에 맞춰 자산매각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 부진과 정부의 지원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박 회장은 "그룹 경영진은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지만 결과적으로 사업구조 개편과 계열사 정상화가 목표에 미달하면서 재무상태가 나빠졌다"며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파장과 책임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행히 국가 기간산업을 향한 정부의 관심과 채권단 지원에 힘입어 중공업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기반은 마련됐다"며 "금전적 부채를 넘어 사회적 부채를 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고통 분담해준 직원들에게는 노고와 그 책임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유동성 문제를 겪게 된 중공업을 비롯해 회사 경영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탓에 회사 걱정까지 하는 여러분을 보면서 회장으로서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그동안 비용 감축을 위해 두 차례 명예퇴직을 했고 현재 약 350명은 휴업에 들어갔다. 두산그룹 전체 계열사 임원들은 4월부터 급여 30%를 반납했다. 두산중공업 임원들은 최고 50%를 반납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