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요양보호사나 보육교사 등 돌봄 종사자를 직접 고용해 이들에 대한 처우를 향상시키고 노동환경 개선, 사회서비스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더 나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5월부터 사회서비스원 설립을 준비해왔다. 이후 7월 전담 TF팀을 설치하고, 12월에는 의원 발의로 사회서비스원 설립을 돕기 위한 조례를 제정했다. 이 결과 지난 2월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원 사업 공모에서 인천‧광주‧강원‧충남도와 함께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고, 국비 9억8천만원을 확보했다. 따라서, 추가경정예산에 사회서비스원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시 예산 10억을 편성해 19억 8천만원을 통과시켰다.
게다가 그간 복지재단이 민간 복지기관의 운영이나 컨설팅을 지원해온 것과 달리 사회서비스원은 국·공립 종합재가센터 및 보육, 요양시설 등을 직접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시설을 직접 운영하면 복지정책 연구 개발과 대안 제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기관을 대상으로 대체인력 공급, 재무‧회계 등 경영 컨설팅, 시설 안전점검 등 각종 지원사업도 시행된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사회서비스원 설립을 계기로 수요자에게 질 높은 사회서비스를 제공, 시설 종사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처우를 개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