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날 한은 창립 70주년 기념사를 통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위기에 대응하면서 중앙은행의 역할 범위가 과연 어디까지 확대될 수 있느냐를 두고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중앙은행이 '크라이시스 파이터'(crisis fighter)로서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중앙은행의 준(準)재정적 역할에 대한 요구를 어디까지 수용할지, 그 정당성은 어떻게 확보할지, 중앙은행의 시장개입 원칙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중앙은행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총재는 "중장기적으로 누적될 수 있는 금융 불균형에 경계감을 늦춰서는 안 된다"며 "선제 대응으로 이번 위기를 조속히 극복하되, 위기가 진정되면 이례적 조치들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하는 방안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저물가 현상에 대비한 물가안정목표제 연구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연구·개발도 향후 과제로 제시했다.
이 총재는 "코로나 위기는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 국제 경쟁 강화 등 앞으로 경제 구조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야기할 수 있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며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활발히 발휘되도록 해 지식과 기술에 기반을 둔 생산성 주도의 성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1948년 정부 수립 직후 근대 금융제도를 확립하고, 통화신용정책을 중립·민주적으로 집행하고자 1950년 6월 12일 창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