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14일까지로 예정됐던 강화된 수도권 방역관리 체계를 수도권 확진자 발생 추이가 한 자릿수로 떨어질 때까지 무기한 연장한다고 밝혔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이 말했다.
박 1차장은 “오늘 중대본 회의에서는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과 협의해 현재의 강화된 방역관리 체계를 연장하고, 추가적인 방역강화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며 “다시 사회적 거리로 돌아갈 경우 빚어질 수 있는 학업과 생업을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수도권에 집중된 연쇄감염의 고리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박 1차장은 “지난 2주간 우리 아이들의 등교수업을 재개하고 학교의 집단감염은 차단하는 성과를 달성했으나 여기에서 상황이 더 악화된다면 등교수업도 다시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강화된 수도권 방역관리 체계에 대해) 종료 기한을 정하는 대신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 10명 이내 등을 목표로 삼고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수도권 지역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종교 소모임, 탁구장, 건강용품 방문판매업체 등에서 시작된 집단감염이 연쇄적으로 이어지면서 지역사회로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6월 이후 발생한 지역사회 코로나19 감염 426건 중 412건(96.7%)은 수도권에 몰려있다. 이로 인해 서울은 지난 9일 누적 확진자가 1000명을 넘어섰으며 경기 역시 이날 1000명을 돌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