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관련 백신·치료제의 개발 및 공급에 대한 국제기구, 국제사회의 협력 강조에 나서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제로 김 국제백신연구소(IVI·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소장을 접견하고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IVI의 성과를 청취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제로 김 국제백신연구소(IVI·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소장을 접견하고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IVI의 성과를 청취했다.
외교부는 강 장관이 12일 오전 김 소장을 접견하고 코로나19 백신 개발 현황 등 관련 사안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1997년에 설립된 IVI는 한국이 유치한 최초의 국제기구로, 백신 연구 개발 및 보급 활동을 하고 있다. 정부는 IVI에 매년 운영비의 30%인 약 500만
달러(60억1950만원)를 지원하고 있다.
김 소장은 저렴한 백신 개발을 통한 개도국(개발도상국) 지원이라는 IVI의 비전을 실천한 대표 사례인 콜레라 백신 및 보급을 소개하고,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코로나19 사태로 전염병 대응 및 대비의 중요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백신 개발 및 보급을 대한 전문성과 공공성을 보유한 국제기구인 IVI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김 소장은 한국이 IVI 소재지국이자 최대 공여국으로 IVI의 발전에 기여해 오고 있다는 것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강 장관과 김 소장은 백신의 개발과 보급이 전염병이라는 인류 공동의 위협 대응에 있어 필수적이라는 것에 공감하고, 향후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오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역내 7개국 외교차관 간 전화 협의에서도 백신·치료제 공급과 관련 국제사회의 협력 등을 언급했다.
조 차관이 참여한 역내 7개국 외교차관 간 전화 협의는 지난 3월 20일부터 5월 15일까지 총 9차례 정례적으로 개최됐고, 이번이 10번째 협의다. 참여국은 한국,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베트남 등이다.
9차 협의 당시 차관들은 향후 필요하면 수시로 추가 협의를 개최하기도 합의한 바 있다. 전화 협의 참석자는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 아키바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 프란세스 애덤슨 호주 외교통상부 차관, 크리스 시드 뉴질랜드 외교통상부 차관, 하르시 시링글라 인도 외교부 수석차관, 부이 타인 썬 베트남 외교부 수석차관 등이다.
이들은 이번 협의에서 △코로나19 대응 관련 역내 협력 촉진 방안 △경제활동 재개 방안 △백신·치료제 개발 및 안정적 보급 등에 대해 논의했다.
조 차관은 최근 국내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발적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하고는 있지만, 정부는 경계를 늦추지 않고 방역 역량과 자원을 총동원해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역내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역내 협력의 틀을 통해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이동 허용 △글로벌 가치 사슬 유지 방안 등을 논의해 나가자고 했다.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과 관련된 협력도 제안했다.
조 차관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은 글로벌 공공재인 만큼, 개발 이후 취약 국가 및 계층에 대해서도 공급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계속 공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협의에 참석한 차관들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역내 국가 간 긴밀한 소통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또 이번 협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향후 수시로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이어 한국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역내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역내 협력의 틀을 통해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이동 허용 △글로벌 가치 사슬 유지 방안 등을 논의해 나가자고 했다.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과 관련된 협력도 제안했다.
조 차관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은 글로벌 공공재인 만큼, 개발 이후 취약 국가 및 계층에 대해서도 공급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계속 공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협의에 참석한 차관들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역내 국가 간 긴밀한 소통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또 이번 협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향후 수시로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