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퍼스트 코리아!] '마오쩌둥' 그려진 디지털 위안화…미국 달러화 패권에 도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특별취재팀
입력 2020-06-15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b)포스트달러 노리는 중국...DC에 대비하라

  • 마오쩌둥 그려진 中디지털 위안화···이미 유통 테스트 돌입

  • 디지털 위안화 카드로 美 달러 금융지배력 '도전장'

[그래픽=아주경제DB]



코로나19는 전 세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혁명을 불러일으켰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사람들이 종이 돈 사용을 꺼리게 된 데다가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경제 위기 속에서 양적완화 기조가 확산되면서 효율적인 통화정책 필요성도 커진 영향이 컸다.

특히 디지털화폐 개발에 가장 앞서 있는 나라는 중국이다. 이미 2014년부터 디지털화폐를 연구해왔다. 여기엔 ‘디지털 위안화’로 자국 통화 영향력을 강화해 미국 달러 중심의 금융 체제에 도전하겠다는 정치적 의도도 깔려 있다는 분석이 있다.

◆마오쩌둥 그려진 中 디지털 위안화··· 이미 유통 테스트 돌입

중국은 이미 CBDC 개발을 기본적으로 마치고 지난달부터 유통 테스트에 돌입한 상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선전, 쑤저우, 슝안신구, 청두 등 4개 도시와 향후 2022년 동계올림픽이 개최될 장소에서 철저한 보안 속 CBDC 폐쇄식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CBDC 기능은 충전, 계좌 이체, 카드, 지불, QR코드 스캔 등 기본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중국 온라인 커뮤니티엔 ‘디지털 위안화’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다. 중국 혁명 지도자 마오쩌둥의 얼굴이 그려져 있고 일련번호가 표기돼 있다. 실물 위안화 지폐와 흡사하다. 사실상 디지털 지갑 속 전자화폐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 디지털 위안화는 인민은행이 발행하는 본원통화(M0) 일부를 대체하는 방식이다. 인민은행이 가치를 보장하는 법정화폐로, 현금과 맞바꿀 수 있다. 시중은행이 인민은행에 현금을 예치하면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위안화를 인민은행이 발급하는 방식으로 유통된다. 시중은행은 발급 받은 디지털 위안화를 고객에게 발급하게 된다.

시장은 중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CBDC를 도입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닛케이아시안리뷰(NAR)는 중국이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에 맞춰 ‘디지털 위안화’를 정식 선보일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는 중국이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통화 개발에 가장 유리환 환경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사실 중국은 이미 '현금 없는 사회'로 변모 중이다.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의 80%는 이미 모바일 결제를 이용한다. 거지조차 동냥할 때 QR코드를 통한 모바일 결제를 활용한다.

또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다. 디지털화폐를 발행하면 국내외 자금 흐름과 자본 유출, 이동 실태 등을 정부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금융시장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글로벌 리더' 노리는 中··· 美 달러 금융지배력 '도전장' 

디지털화폐는 중국 위안화 국제화의 또 다른 카드로도 볼 수 있다. 디지털 위안화로 세계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 패권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베이징 소재 경제 및 정책 컨설팅업체 트리비움차이나의 앤드루 폴크 공동 창업자는 블룸버그를 통해 "중국 디지털통화 뒤엔 매우 강력한 정치적 의지가 담겨 있다"며 "중국은 글로벌 리더가 될 기회를 엿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디지털통화 시장을 선점한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를 널리 보급한다면, 사실상 달러화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금융 지배력에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최근 '신 냉전'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미·중 갈등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중국 내에선 미국이 국제 달러결제 체제에서 중국을 퇴출시킬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올 정도다. 미국과의 장기전에 대비,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에 더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베이징 소재 블록체인 컨설팅 업체 시노글로벌캐피털의 매튜 그레이엄 최고경영자(CEO)는 "다른 나라들이 (디지털 통화 방면에서) 중국식 틀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은 선두주자 우위가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는 중국에는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진단했다.

예를 들면 중국은 자국 주도의 신 실크로드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에 동참하는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 국가들과 디지털 위안화 기술을 공유하거나 혹은 디지털 위안화로 결제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디지털 위안화와 상호 호환되게 함으로써 위안화 디지털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중국은 홍콩을 기반으로 해서 한·중·일 3국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동 디지털화폐를 만드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지난달 열린 중국 정책 자문회의 격인 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에서는 중국 위안화, 일본 엔화, 한국 원화, 홍콩 달러화 등 4개 통화를 묶는 광역 디지털화폐를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다. 국경을 넘는 결제망을 구축해 동아시아의 역내 무역을 더욱 활성화하겠다는 의도다.

이는 기존 미국 달러 기반의 금융 지배력을 흔들겠다는 의도로도 읽힌다.  특히 미국의 금융, 경제제재 실효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미국의 제재를 받는 이란 등 국가들이 디지털 위안화로 결제하면 미국 달러 기반의 국제결제시스템망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를 우회함으로써 미국의 금융 감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그동안 SWIFT를 통해 국경을 넘나드는 은행 상호간 지급·송금업무 데이터 통신을 장악하고 불법적인 금융 흐름을 추적해왔다. 

일각에선 디지털 위안화가 달러 패권에 위협이 되긴 힘들 것이란 전망도 있다. 헨리 폴슨 전 미국 재무장관은 포린어페어스 기고문에 "돈의 형태가 바뀔 수는 있어도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며 "디지털 위안화는 여전히 중국의 위안화"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위안화가 국제 기축통화로 등극하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중국이 시장 주도 경제로 더 과감히 바뀌고, 자본통제를 철폐하고, 시장이 위안화 가치를 결정하게끔 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