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서울주택도시공사 제공]
SH공사는 그동안 코로나19 발생이후 사장직속의 ‘코로나19 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며 안전관리와 방역대책을 철저히 수립·이행 중이다. 특히 공사는 지난 4월 임대주택 임차인과 임대상가 임차인을 대상으로 ‘민생경제 지원대책’를 수립해 시행했다.
나아가 SH공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 달라진 사회·경제적 요구와 주거·도시공간의 변화를 예측하고, 안전한 주거·도시공간을 창출하고자 ‘스마트방역도시 기반 구축’을 목표로 공사 현안사업을 중심으로 주요 의제에 대해 연구하고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예방과 확산방지를 위한 사회적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건축적 방안을 검토하여 공동주택 비중이 특히 높은 서울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공동주택 계획기준’ 연구에 착수했다.
적용대상은 서울시 내 신축 공동주택단지, 기존 공동주택단지다. 단지 및 주동은 스마트 단지, 비접촉 활성화를 위한 공간계획과 시설자동화 등으로 조성하고, 주호공간은 혁신기술 등 활용, 장기 격리시 생활 유지를 위한 계획방향으로 설정된다.
앞서 SH공사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스마트 공동주택 계획기준 연구 착수 외에도 △경제위기 선제적 대응을 위한 주택부문 표준모델 마련 △대규모 재난시 업무 연속성 확보를 위한 ‘기능연속성 계획수립’ △비대면 주거복지서비스 시행 △대규모 격리시설 설치를 위한 ‘재난대비 토지뱅크 확보’ 등 공사의 ‘포스트 코로나 변화 및 대응전략’도 수립했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이번 연구와 전략수립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선제적·성공적 대응을 위한 SH의 첫걸음이다”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다양한 정책발굴을 통하여 안전한 서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