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케미칼 에너지소재연구소에서 한 연구원이 배터리 셀 품질 테스트를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케미칼 제공]
일반적으로 전기차에 활용되는 하이니켈 배터리에서 니켈 비중을 높일수록 용량은 늘어난다. 반면 다른 원재료인 망간과 코발트 비중이 줄어들면서 안정성과 출력은 낮아지기 때문에 니켈 함량을 80~90% 이상으로 높이는 데는 기술적인 한계점이 있었다. NCMA 양극재는 알루미늄(Al)을 활용해 이런 한계점을 보완하며 니켈 비중을 높일 수 있다.
NCMA 양극재는 1회 충전 시 500~600㎞를 주행할 수 있는 3세대 전기차에 적용된다. 업계는 3세대 전기차가 상용화되면 내연기관 자동차와의 본격적인 경쟁이 가능해 전기차 대중화의 기폭제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또한 가격이 높고 변동성이 큰 희소금속인 코발트의 원가 부담이 줄어들면 배터리 가격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김도형 포스코케미칼 에너지소재연구소장은 “미래 수요에 대비하는 소재 선행개발을 더욱 가속화하며 배터리소재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 이라며 “고객과 시장을 만족시키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에너지소재분야 글로벌 1위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