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北 연락사무소 폭파] 남·북 화해 상징…굉음과 함께 역사 뒤안길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20-06-17 07: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최초 공사비 80억원+개보수 약 100억원+운영비 100억원’ 투입

  • 코로나19로 올 1월 운영 중단…설립 21개월 만에 ‘잿더미’

16일 오후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청사가 폭파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쾅!’

16일 개성공단이 위치한 곳에서 폭음소리와 함께 검은 연기가 목격됐다. 남·북 화해를 상징하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건립 21개월 만에 잿더미가 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것이다.

통일부는 이날 출입기자단에게 공지를 통해 “14시49분 북한,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청사가 폭파됐다”고 밝혔다.

이후 청와대가 국방부에서 받아 공개한 37초 분량 영상에는 연락사무소 청사의 폭파 당시의 모습이 담겨 있었다. 영상은 군의 TOD(열상감시장비)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영상에는 북한이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뒤 화염이 일어나고 있는 모습과 연락사무소는 물론 주변 건물의 모든 시설물이 피해를 보는 모습도 나온다.

지상 4층, 지하 1층 건물인 연락사무소 청사는 폭발한 지 3∼4초 만에 무너졌다. 과거 개성공단 내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로 사용하던 4층 건물을 연락사무소로 리모델링해서 2층과 4층에 각각 남·북 인력이 상주 근무했다.

이뿐만 아니라 이날 폭발의 여파로 15층 높이의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영상 가운데 빌딩)까지 폭파된 것으로 확인된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2018년 남·북 정상 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설치된 일종의 ‘외교공관’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남·북은 당국 간 긴밀한 협의와 민간 협력 보장을 위해 사무소 설치를 추진했다.

사무소 건물은 2005년 개소했던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를 보수하는 방식으로 건립됐다. 개·보수 예산은 97억8000만원으로, 사무소를 처음 세울 때 공사비 80억원까지 합하면 모두 177억여원이 투입된 것이다. 지난 2005년 신축 당시 들어간 80억원보다도 개·보수 비용이 더 많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운영비 역시 100억원 이상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사무소 운영에 필요한 청사와 상주직원 숙식공간을 비롯해 정배수장, 폐수·폐기물처리장 등 관련된 지원 시설들을 필요한 수준으로 리모델링했으며 사무소 개소식은 2018년 9월 14일 개성공단에서 열렸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기능은 남·북 당국 사이의 연락과 실무적 협의, 여러 분야의 대화와 접촉, 교류협력, 공동행사 등에 대한 지원사업, 민간단체들의 교류협력사업에 필요한 소개와 연락, 자문, 자료교환, 접촉지원 등으로 규정됐다. 육로를 통해 상대 측 지역을 왕래하는 쌍방 인원들에 대한 편의 보장도 사무소의 역할로 정해졌다.

설치 당시 남·북은 소장을 포함해 각각 15~20명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 측은 통일부뿐만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산림청 등 유관부처 관계자를 30명까지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설립 후 연락사무소 소장회의가 주 1회 꼴로 열렸지만, 지난해 2월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회의가 개최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돼 올 1월부터는 연락사무소 운영이 아예 중단됐다.

다만, 남·북은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전화통화를 통해 연락을 유지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북한이 지난 9일 남·북 간 통신선을 모두 차단하면서 완전 폐쇄 수순에 들어갔다.

한편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2018년 9월 14일) 이후 연락사무소를 통해 남북이 주고받은 통지문은 총 132건(5월 30일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대북 통지문이 72건, 대남 통지문이 60건이었다. 통일부는 통지문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교류협력사업 등 관련 통지문 85건 △당국 회담 및 실무회의 관련 통지문 31건 △사체 인도 등 관련 통지문 16건순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