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회의복합지구’는 국제회의시설 및 숙박, 공연, 쇼핑몰 등 국제회의 집적시설이 집적되어 있는 지역을 말한다. 인천을 비롯하여 광주, 부산, 대구, 경기(고양시) 등 5개 시도가 문체부로부터 지정 받았다.
시는 지난해 2019년 사업 공모에서 국비 2억 5000만원을 배정받아 홍보영상 제작, 마이스패스 영문앱 개발 사업을 완료했고 올해는 작년대비 국비를 2배 이상 확보했다.
이에 따라 시는 인천 송도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를 위해 ▲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및 홀로그램 제작 ▲ 마이스 육성 프로그램 교육지원 ▲ 국제회의복합지구 통합브랜드 개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또한 마이스 인적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약 500명을 대상으로 복합지구 내 10개의 집적시설(호텔6, 판매시설3, 공연장1)을 중심으로 재직자 교육 프로그램 및 국제회의 현장형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6/17/20200617102424399385.jpg)
인천 송도 국제회의복합지구[사진=인천시]
이는 양질의 일자리를 지키면서 더 나은 서비스를 지향해 나갈 예정이다.
김충진 마이스산업과장은 “인천시가 지난해 말 인천 관광·마이스포럼을 출범시켰고 코로나19 대비 우리나라 최초 마이스 행사형 「클린인천 QR코드 출입인증시스템」도입 등 인천의 강점을 어필하는 것이 이번 공모사업 평가의 주요한 전략이었다”며 “특히 첨단 회의기술 활용 수요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인천 송도 국제회의복합지구 내 회의기술을 활용한 미팅 테크놀로지 등 국제회의 경쟁력 제고 사업을 강화하여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마이스의 메카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