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자본시장연구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방식의 직접투자가 증가하는 등 증권업계가 코로나19를 통해 많은 기회를 갖게 될 것이란 의견이 나왔다.
18일 한국증권학회와 자본시장연구원 공동 주최로 열린 '코로나19와 금융' 정책 심포지엄에서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혁신이 가속하면서 공·사모펀드 등 간접투자는 줄고 비대면 직접투자가 빠르게 확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대비해야한다며 코로나19를 통해 투자 패러다임이 변화할 것으로 봤다. 그는 "금융사는 상품 판매 대신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재무적 투자 대신 무형자산의 주도, 위험이 높은 자기매매 대신 모험자본 중개·투자로 전략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 한국 증시는 PER이나 PBR 기준으로 저평가됐다는 인식이 존재했지만 앞으로는 PPR(가격 대비 특허권가치 비율) 등 무형자산의 가치로 기업이 평가받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ICT와 바이오 업종 위주로 우수한 무형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장기 상승여력이 높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금융사는 운용·판매·고객관리·내부통제 등 사업 전 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인력 및 플랫폼 투자를 확대해 ICT 회사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연사로 나선 김창수 연세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실물 부문 부진이 금융위기로 전염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는 금융시장에 새로운 위기이기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던 장기 저금리·저성장·저물가 상태의 부작용을 가속하는 원인"이라며 "코로나19의 단기적 충격에 대한 금융시장의 대응이 필요하고 근본적으로는 뉴노멀 상태에 대한 대응이 필수다"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