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日추가보복에 선제대응...소부장 시즌2 시작하겠다"

  • "기업·정부 합심해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하겠다"

더불어민주당은 24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더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민주당과 정부는 이날 국회에서 소부장 산업 현안점검회의를 열고 일본의 추가적인 수출규제 등 보복 조치 예고에 대한 대응 마련에 나섰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일본의 추가 보복 조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추가 보복 시 조치가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그동안의 소부장 대책 추진 현안을 점검하고 보완해야 한다. 민주당은 소부장 산업 전략 시즌 2를 시작하겠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 확산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다”면서 “반도체, 자동차 등 기존 주력 산업과 바이오, 미래차 등 신산업이 발전하려면 소부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정식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은 경제가 곧 안보란 인식 하에 기업인과 정부와 합심해 소부장 산업 경쟁력을 더 강화하겠다”며 “정부 역시 우리 경제가 일본의 추가 보복으로 또 위기에 노출되지 않게 만반의 준비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황철주 소재·부품·장비상생협의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성 장관은 “수출규제 핵심 품목은 공급 안정화 측면에서 큰 진전이 있었다”며 “정부는 100대 품목 안정화 위해 5조원을 투입해서 집중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소부장 대응 센터를 통해 기업들을 총력 지원했다”며 “지속적이고 일관된 정책 추진 위해 소부장 특별법 전면 개정, 경쟁력 위원회 출범 등 강력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최 장관은 “내년 R&D(연구개발) 투자도 올해 1조7000억보다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보호무역주의는 글로벌 공급망에 커다란 지각변동을 초래하고 있고,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기부는 코로나 이후 글로벌 공급망 개편에 적극 대응하고자 한다”며 “소부장 연구개발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공정설계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 장관은 “소부장 전용 펀드를 만들어서 1100억 규모로 중소벤처에 집중 투자를 했다”면서 “2020년도에 예기치 않은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힘든 터널을 빠져나갈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산업 현안점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태년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