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한국수력원자력, 5G 양자암호통신 기반 스마트플랜트 조성 맞손

신용식 SK텔레콤 Massive IoT사업본부장(왼쪽에서 두 번째)과 박상형 한국수력원자력 디지털혁신추진단장(왼쪽에서 세 번째)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국내 최초 스마트플랜트 양자암호 개통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과 한국수력원자력이 5G 양자암호통신 기반 스마트플랜트를 본격적으로 조성한다.

양사는 지난 23일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본사와 삼랑진 양수발전 사무소를 연결하는 통신망에 양자암호통신 장비(QKD, Quantum Key Distributor)를 적용하고, 국내 최초 스마트플랜트 양자암호 개통식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개통식에는 신용식 SK텔레콤 Massive IoT사업본부장과 박상형 한국수력원자력 디지털혁신추진단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해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발전소 통신망 내 양자암호통신 적용은 상용업무 대상으로는 국내 최초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발전시설의 보안성 강화를 위해 추진됐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세계 1위 기업인 IDQ의 첨단 기술을 통신망에 적용해 해당 구간에 대한 해킹 우려를 원천 차단했다.

양사는 지난 1년여 동안 △발전시설 내 모바일 업무 데이터 유출 방지를 위한 프라이빗 5G 기반 구축 △현장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모니터링 프라이빗 IoT 구축 △모바일 업무 환경 구현을 위한 한빛 원자력 발전소 6호기 PS-LTE 시범사업 △현장 상황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경주 한수원 본사 'T 라이브 캐스터' 적용 등 다양한 시범사업을 진행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구현하는 스마트플랜트는 5G, 양자암호통신, 인공지능(AI), 클라우드를 활용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강력한 보안을 바탕으로 온·오프라인이 융합돼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한 발전소다.

SK텔레콤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팔당 수력발전소 프라이빗 5G 적용 △원자력발전소 PS-LTE 확대 및 모바일 인프라 구현 △양자암호통신(QKD) 기반 전송 기술 및 현장 모바일 접속에 대한 이중 보안의 양자난수암호생성기(QRNG) 구현 △이미지 분석기술을 활용한 효율적 자동 관제 및 응용기술 구현 △IoT기반 실시간 데이터 수집을 통한 디지털 예측 진단 체계 구현 등의 과제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신용식 본부장은 "올해 기업 간 거래(B2B) 분야에 5G, 양자암호통신 등 첨단 ICT가 본격적으로 적용돼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여건이 마련됐다"며 "우리나라 산업과 국민 생활의 안정적 기반인 발전시설의 혁신을 위해 한국수력원자력과의 협업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