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문제 삼아 대남(對南)사업을 대적(對敵)사업으로 전환하고, 대남 비난에 열을 올렸던 북한이 내부 결속을 강화하는 등 다시 ‘정면돌파전’ 관철에 집중하는 자세를 보인다.
지난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6·25전쟁 70주년 기념식에서 “전쟁의 참혹함을 잊지 않는 것이 ‘종전’을 향한 첫걸음”이라면서 “세계사에서 가장 슬픈 전쟁을 끝내기 위한 노력에 북한도 담대하게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한 것에도 대응하지 않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8일 대남 비난 기사 없이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의 현지 경제 시찰과 각종 공장의 생산 공정을 조명하며 자력갱생의 정면돌파전을 강조했다.
신문은 박 부위원장이 순천시멘트연합기업소 등 기업소 여러 곳을 돌아보면서 기술혁신 운동과 사회주의 기업 책임 관리제를 통한 생산 성과 확대를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또 박 부위원장이 현지에서 진행된 협의회에서 현재 진행 중인 능력확장 공사를 최단기간 내에 끝낼 것을 토의했다고 전했다.
박 부위원장은 금성뜨락또르(트랙터) 공장, 순천보온재 공장을 방문, 건설 속도와 질을 보장하며 연관 단위에서 공사에 필요한 자재를 책임지고 보장할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재령군 삼지강협동 농장과 신천군 백석협동 농장을 찾아서는 밀 작황을 파악하고, 농작물에 대한 비배관리를 통해 알곡 소출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북한은 지난 4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북전단 살포 비난 담화 발표 이후 20여 일 동안 대남 비난에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지난 2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화상회의로 주재한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회의 예비회의에서 인민군 총참모부의 대남 군사행동 계획 보류를 결정하자 대남 비난을 자제하고 정면돌파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의 6·25 전쟁 70주년 기념사에서 남·북의 경제력을 비교하고, 국방력 과시 등으로 대남 도발에 대한 경고를 시사한 대목이 있었음에도 북한은 침묵하고 있다. 앞서 북한이 한국 정부의 대남 도발 유감 표명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반박 입장문, 담화를 내놓던 것과 상반된 모습인 셈이다.
한편 전 통일부 장관인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27일(현지시간) 일본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남·북 경제협력을 재개하려는 노림수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파괴라는 충격요법을 쓴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북한이 돌연 대남 군사행동 계획 실행을 미룬 것은 미국의 개입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로 남측을 압박한 것은 “북한 내 불만을 외부로 돌리지 않으면 안 됐기 때문”이라며 “남북경제협력 사업 재개를 반영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한국에 압박하려는 노림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대남 군사행동 보류 결정 배경에 미국의 개입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고 분석, “미국 정찰기가 감시하는 가운데 북한이 실제 무력을 행사하는 군사도발에 나서면 미군 개입을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해 김 위원장이 군사행동을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6·25전쟁 70주년 기념식에서 “전쟁의 참혹함을 잊지 않는 것이 ‘종전’을 향한 첫걸음”이라면서 “세계사에서 가장 슬픈 전쟁을 끝내기 위한 노력에 북한도 담대하게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한 것에도 대응하지 않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8일 대남 비난 기사 없이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의 현지 경제 시찰과 각종 공장의 생산 공정을 조명하며 자력갱생의 정면돌파전을 강조했다.
신문은 박 부위원장이 순천시멘트연합기업소 등 기업소 여러 곳을 돌아보면서 기술혁신 운동과 사회주의 기업 책임 관리제를 통한 생산 성과 확대를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박 부위원장은 금성뜨락또르(트랙터) 공장, 순천보온재 공장을 방문, 건설 속도와 질을 보장하며 연관 단위에서 공사에 필요한 자재를 책임지고 보장할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재령군 삼지강협동 농장과 신천군 백석협동 농장을 찾아서는 밀 작황을 파악하고, 농작물에 대한 비배관리를 통해 알곡 소출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북한은 지난 4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북전단 살포 비난 담화 발표 이후 20여 일 동안 대남 비난에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지난 2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화상회의로 주재한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회의 예비회의에서 인민군 총참모부의 대남 군사행동 계획 보류를 결정하자 대남 비난을 자제하고 정면돌파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의 6·25 전쟁 70주년 기념사에서 남·북의 경제력을 비교하고, 국방력 과시 등으로 대남 도발에 대한 경고를 시사한 대목이 있었음에도 북한은 침묵하고 있다. 앞서 북한이 한국 정부의 대남 도발 유감 표명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반박 입장문, 담화를 내놓던 것과 상반된 모습인 셈이다.
한편 전 통일부 장관인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27일(현지시간) 일본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남·북 경제협력을 재개하려는 노림수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파괴라는 충격요법을 쓴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북한이 돌연 대남 군사행동 계획 실행을 미룬 것은 미국의 개입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로 남측을 압박한 것은 “북한 내 불만을 외부로 돌리지 않으면 안 됐기 때문”이라며 “남북경제협력 사업 재개를 반영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한국에 압박하려는 노림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대남 군사행동 보류 결정 배경에 미국의 개입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고 분석, “미국 정찰기가 감시하는 가운데 북한이 실제 무력을 행사하는 군사도발에 나서면 미군 개입을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해 김 위원장이 군사행동을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