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확대 참여를 반대한다는 의견을 미국 정부에 전달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교도통신은 복수의 미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전날인 27일 일본 정부 고위 관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G7 확대 구상과 한국의 참가를 반대한다는 뜻을 미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북한이나 중국을 대하는 한국의 자세가 G7의 기조와는 다르다는 우려를 강조하면서 현재의 G7 틀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는 상황을 고려해 문재인 정권이 남북 화해를 우선시하고 친(親) 중국 성향을 보인다고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적인 판단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교도통신은 일본 측의 대응이 "아베 신조 총리의 의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G7에 참여하는 외교적 우위를 지키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매체는 이어 양국이 역사 문제로 대립하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역사 문제를 제기할 것을 경계한다면서 이번 일이 향후 한일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
현재 일본 정부는 이날 교도통신이 보도한 주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상태는 아니다.
지난달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6월 중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했던 G7 정상회의를 오는 9월로 연기하고 중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호주·러시아·인도·브라질 등을 더 초청해 G11~G12로 확대하자고 발표했다.
현재 G7에는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 등 7개국이 참여 중이며, G7 의장국은 매해 한 국가씩 돌아가면서 맡는데 작년 프랑스에 이어 올해는 미국이 맡은 상태다.
이후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일본과 미국 사이에 긴밀하게 대화하고 있다', '올해 G7 정상회의 일정과 개최 형태에 대해서는 의장국인 미국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일본 측의 직접적인 의견 표명을 피해왔다.
이에 교도통신은 의장국의 의향에 따라 회원국 이외의 국가를 G7 정상회담에 초청하는 '아웃리치' 형태로 우리나라가 일시 참석하는 방안은 '문제가 없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한 외교 소식통은 교도통신에서 이미 영국과 캐나다 등이 러시아의 확대 참여 방안에 반대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굳이 전면에 나서 우리나라의 참여를 반대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다만, 이날 해당 보도가 나온 이후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은 공영방송 NHK에 출연해 "G7의 틀 자체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이 현 G7 회원국 전체의 의견(컨센선스)일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G7 확대 구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1일 문 대통령과의 전화 회담에서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뜻을 밝혔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