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극복과 소비 진작을 위한 대규모 할인 행사에 많은 인파가 백화점과 마트로 방문했기 때문이다.
특히 패션 제조업체의 경우 큰 폭으로 세일을 진행하고, 백화점은 상품권을 증정하거나 금액 할인권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 혜택을 늘린 것이 호실적에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동행세일 기간에 맞춰 세일에 들어간 롯데백화점은 지난 26∼27일 매출이 지난해 여름 세일 기간 첫 이틀 대비 21%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신장 폭이다.
또 롯데쇼핑의 교외형 아울렛 6곳에도 인파가 몰리며 매출이 55% 급증했다.
코로나19로 수요가 급감했던 여성 패션 상품군 매출도 8% 증가했다. 여성 패션은 지난 4월과 5월,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29% 감소한 바 있다.
골프·아웃도어 의류는 26%, 스포츠 의류는 20% 등 전체 남성 패션 상품군 매출도 역시 8% 늘었다.
또 잡화 상품군은 6%, 생활가전 상품군은 12% 매출이 늘면서 여러 상품군에서 고르게 매출이 증가했다.
동행 세일과 함께 판매를 시작한 오프라인 재고 면세품도 높은 인기를 누렸다. 25일 프리 오픈일까지 포함해 27일까지 3일간 롯데백화점과 아웃렛 매장에서 53억원가량 재고 면세품이 판매돼 전체 물량의 60%가 소진됐다.
재고 면세품 판매로 명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재고 면세품이 아닌 기존 해외명품 판매도 93% 급증했다. 해외여행이 어려워짐에 따라 면세점 이용 수요가 백화점으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형마트를 찾는 사람들도 많았다. 롯데마트는 동행세일을 시작한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매출이 지난주 같은 요일과 비교해 7.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과일 △6.4% △채소 3.3% △축산 13.6% 등 신선식품 매출 확대가 두드러졌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동행세일 시작 첫 주말, 백화점과 마트에 소비자들이 몰리며 오래간만에 매장에 활기가 돌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