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미국·브라질 ‘승선검역’ 확대 계획 없다”...검역관 인력 부족 탓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원승일 기자
입력 2020-06-28 16: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국·이란·이탈리아 이어 뒤늦게 러시아도 '승선검역'...나머지 서류 대체 '전자검역'

  • 전문가 "미국·브라질 등 고위험국가 승선 검역, 선제적 선박 검역 강화해야"

코로나19 확진자 수 1, 2위인 미국과 브라질도 승선 검역 대상국에 넣어야 한다는 주장에 정부는 난색을 보이고 있다.

집단 확진이 발생한 러시아의 경우 지난 24일부터 승선 검역 대상국에 포함, 모든 선박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는 현재 선박 검역 대상국을 늘리기에 검역관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브라질 등 코로나 확진세가 심각한 국가의 경우 선제적으로 선박 검역을 강화하지 않으면 또다시 '뒷북' 검역이 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와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현재 검역관이 직접 배에 올라 검역(승선 검역)을 하는 국가는 중국과 이란, 이탈리아 그리고 러시아뿐이다. 정부는 아직 미국, 브라질 등으로 승선 검역을 확대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부산 입항 러시아 선박 검역[사진=연합뉴스]

현재 이들 4개국을 제외한 타 국가들은 서류만 제출하면 되는 전자 검역을 하고 있다. 코로나 확진자가 미국은 235만명으로 1위, 브라질은 115만명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고위험국가이지만 이들 국가의 선박은 여전히 승선 검역이 아닌 전자 검역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 국내 승선 검역은 전체 검역의 20∼30% 수준에 불과하다.

17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러시아의 경우 전자 검역을 통해 부산 감천항에 입항했고, 이 과정에서 선내 유증상자가 있었음에도 우리나라에 미리 통보하지 않는 등 '구멍' 검역이 드러났다. 러시아는 현재 확진자 수가 60만여명으로 세계 3위다.

이 때문에 미국과 브라질도 전자 검역이 아닌 승선 검역 대상국으로 포함해 검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반면 정부와 방역당국은 검역관 인력 부족과 함께 안전사고 우려로 승선 검역 대상국과 횟수를 늘리기 어렵다는 입장만 되풀이할 뿐이다.

중대본 관계자는 "배에 직접 올라가서 검역 작업을 하는 것이 위험하기도 하고 승선 검역을 하게 되면 인력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항만 검역소의 정원은 2015년 235명에서 2019년 260명으로 5년 새 25명 늘어난 것에 그쳤다. 지난해 선박 검역량은 총 6만1962척, 직원 1명당 238척의 검역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러시아 선박이 입항했던 부산항의 검역소 정원은 51명에 불과했다.

중대본 관계자는 "검역 인력은 계속 충원할 계획이다"면서도 "현재 미국, 브라질 등으로 승선 검역국을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한 감염과 전문의는 "미국, 브라질같이 집단 확진 발생 우려가 큰 국가를 대상으로 선제적인 항만 검역 조치가 필요하다"며 "검역관 인력을 더 충원해서라도 승선 검역 대상국과 횟수를 늘리지 않으면 이번 러시아 사례처럼 ‘사후약방문’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