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보다 2.4% 상승한 93.2포인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으로 식량가격지수는 지난 1월 102.5에서 2월 99.4, 3월 95.1, 4월 92.4, 5월 91.1로 내리 하락했다.
FAO 식량가격지수는 19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을 모니터링해 5개 품목군별로 매월 작성해 발표한다. 품목군별로 보면 유지류·설탕·유제품 가격지수가 오르고 곡물·육류 가격지수는 하락했다.
설탕은 국제원유 가격 급등에 발맞춰 10.6% 상승한 75.0으로 집계됐다. 원유 가격이 오르면서 브라질 설탕 공장이 설탕 대신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늘린 것이 영향을 미쳤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98.2로 전월보다 4.0% 상승했다.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의 수입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계절적 요인으로 유럽 공급량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곡물은 0.6% 하락한 96.9에 머물렀다. 특히 곡물 중 쌀 가격은 일부 수출국의 교역 활동 둔화와 통화 흐름의 영향으로 연초 이후 처음으로 소폭 내려갔다.
육류는 중국과 중동에서의 높은 수요에도 주요 생산지역의 수출가용량이 늘면서 0.6% 하락한 95.2를 보였다. 다만 코로나19 시장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로 돼지고기 가격은 소폭 상승했다.
2020∼2021 세계곡물 생산량은 27억8980만t으로 2019∼2020년 대비 3.0%, 소비량은 27억3540만t으로 1.6% 늘어날 전망이다. 같은 시기 세계곡물 기말 재고량은 9억2890만t으로 6.0% 증가하겠다고 FAO는 예측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06/20200706140102368615.jpg)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사진= 농식품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