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07/20200707134102622661.jpg)
[사진=성남시 제공]
은 시장은 7일 "성남시가 세계보건기구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고령친화도시는 고령자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의 시민들이 나이에 따른 환경변화에 불편함 없이 살 수 있도록 각종 정책이나 서비스를 받는 도시를 의미한다고 은 시장은 말한다.
이날 오전 시청 산성누리에서 열린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에는 성남시의원, 관계부서 공무원 등 21명이 참석해 머리를 맞댔다.
이를 통해 성남형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2023년까지 3년간의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는 게 은 시장의 설명이다.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로봇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고령친화도시 모델도 개발한다.
한편 시는 오는 2025년 베이 붐 세대가 모두 고령자로 편입이 예상돼 선제적으로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마련, 시행하려고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추진하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