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07/20200707141003563060.jpg)
경찰청 여경 마스코트인 '포순이'가 21년만에 모습을 바꾸게 되었다. 작은 변화지만 그 속에 담긴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사진=경찰청 제공]
경찰청의 캐릭터로 친숙한 포돌이와 포순이. 이 중 여경을 상징하는 캐릭터인 '포순이'가 탄생 21년 만에 치마 대신 바지를 입고 속눈썹을 없앴다. 단발머리는 귀 뒤로 넘겼다.
7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위원회는 전날 제441회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찰관 상징 포돌이·포순이 관리규칙 일부 개정 규칙안'을 심의·의결했다. 경찰청은 "그동안 포순이 모습이 성별 고정관념과 성차별적 편견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고 캐릭터 일부 변경의 배경을 설명했다.
1999년 두 캐릭터가 만들어진 이래로 포순이는 항상 치마를 입고 속눈썹이 있는 채로 단발머리로 귀를 감춘 모습이었다. 포돌이·포순이 캐릭터는 만화계의 거장으로 꼽히는 이현세 화백이 만들었는데, 이 화백은 두 캐릭터를 만든 공로 등을 인정받아 명예 총경(경찰서장급)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각각 남녀 경찰관을 상징하는 포돌이와 포순이는 경찰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police'의 'po'(포)와 조선 시대 치안기관인 '포도청'의 '포'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경찰청 관계자는 "국민의 목소리를 빠짐없이 듣고 치안 상황을 신속·정확하게 수집해 각종 범죄를 예방하겠다는 의미에서 포돌이와 마찬가지로 포순이도 귀를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