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바이러스 연구소 내부는 어떻게 생겼을까

  • 중국 중앙방송총국(CMG) 기자 탐방 동영상

이미지 확대
[영상=중국 중앙방송총국(CMG) 제공]

[영상=중국 중앙방송총국(CMG)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논란이 된 중국과학원 산하 바이러스연구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 중앙방송총국(CMG) 기자가 직접 이곳을 탐방해 위안즈밍 우한국가생물안전실험실 책임자와 함께 연구소 내부를 둘러봤다.

CMG 보도에 따르면 베이성 우한시 교외에 위치한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산하엔 중국 내 유일한 생물안전 4급(P4) 국가생물안전실험실이 있다. P4는 생물 실험 안전등급이 최고인 실험실로, 최대 보안영역임을 의미한다.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 당시 공중보건 시스템의 취약성이 드러난 것을 계기로 중국은 국가생물안전실험실을 건설하게 된다. 이는 중국과 프랑스 합작 프로젝트로, 15년에 걸친 시간 끝에 완고돼 2018년 본격적으로 운영됐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