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12/20200712122525493966.jpg)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12일 유통 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업계는 동행세일 기간 매출이 명품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은 동행세일이 시작된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9일까지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1.3% 증가했다. 현대백화점과 롯데백화점 매출도 같은 기간 각각 6.3%, 4% 늘었다. 롯데쇼핑의 교외형 아울렛 6곳도 매출이 24%나 증가했다.
이 같은 매출 신장세는 명품이 주도했다.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에서는 이 기간 명품 매출이 각각 54.8%, 51% 늘었고, 현대백화점에서도 해외 패션 부문 매출이 43.5% 증가했다.
또 신세계백화점은 동행세일 기간 할인 혜택을 높인 가전과 생활 부문 매출이 각각 83%, 54.6% 늘어나는 등 여러 부문에서 세일 효과가 고르게 나타났다. 현대백화점도 생활 부문 매출이 31.6% 증가했다.
반면 대형마트는 동행세일 시작일보다 하루 먼저 행사에 돌입했음에도 불구, 매출이 작년 대비 비슷한 수준이거나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마트는 지난달 25일부터 사흘간 매출이 전주 같은 요일 대비 7.2% 증가했지만, 이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결국 이달 9일까지 총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했다. 그나마 동행세일 행사 상품을 대거 선보였던 축산, 주류 부문 매출이 각각 11.7%, 15.4% 증가했다.
이마트도 축산과 수산, 주류 부문 매출이 각각 22.3%, 12.4%, 15.7% 늘었다. 으뜸효율 가전을 대상으로 구매액 환급과 상품권 행사를 한 대형 가전과 디지털 가전도 각각 48%, 30.4% 증가했다. 이마트 전체 매출은 작년과 비슷했거나 소폭 증가한 수준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대형마트가 동행세일의 후광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한 것에 대해 해사 첫 주말 일요일(6월 28일) 의무휴업으로 구매 분위기가 꺾였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