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이 ‘검언유착’ 수사에 대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아들인 가운데 검찰은 대규모 인사로 한 차례 더 폭풍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국 전 장관 일가족에 대한 수사와 재판, 검언유착 사건,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대한 공작수사 의혹 등 논란이 됐던 검사들이 대거 인사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인사에서는 검사장급의 인사보다는 차장검사를 포함한 중간간부급의 변동이 클 것으로 보인다.
권순정 대검 차장(대변인)을 비롯한 과장급 참모진 대부분이 교체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지휘권 발동 과정에서 윤 총장은 대검 부장(검사장급)들을 제치고 과장(부장검사)급과 기획관(차장검사)급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했다. 검찰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윤 총장은 대검 부장(검사장)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특정 검사장을 지목해 "못 믿겠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감찰본부 과장급 인사다. 앞서 지난 2월 인사에서 잠시 거론됐던 임은정 검사의 감찰부 입성 가능성도 거론된다. 임 검사는 지난 2월 인사에서도 감찰부에 지원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 검사가 감찰부로 전보될 경우, 현재 진행 중인 검언유착 사건 등에서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법무부의 '탈검찰화'에 따라 법무부의 각 실국에 배치된 검사들도 원대복귀하게 된다. 법무부 검찰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서에서 검사들을 대신해 변호사나 일반 공무원들이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또 ‘조국사태’ 수사를 이끌었던 수사검사들과 공판검사들도 대거 포함될 전망이다. 현재 정 교수의 재판을 이끌어가고 있는 강백신 부부장검사 등이 대표적이다. 다만 수사팀을 이끌었던 이광석 부부장검사는 지난 4월 12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조 전 장관 가족들에 대한 재판 결과가 속속 나오면서 무리한 수사가 있었다거나 불법적인 압수수색이 있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 그에 대한 후속조치도 불가피해 보인다.
이 같은 분위기는 검찰 내부에서도 이미 상당수준 공유가 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1월 단행된 인사에서는 이른바 윤석열 라인 ‘특수통’ 검사들이 대부분 지방으로 전보됐다. 이번 인사에서는 당시 제외됐던 차장검사를 포함한 중간간부급의 이동에 인사가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12/20200712154546782788.jpg)
[사진=이범종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