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항체가 형성되어도 몇 개월 만에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독일에서 나왔다.
12일(현지시간) dpa통신에 따르면 독일의 뮌헨슈바빙클리닉은 코로나19에 감염됐던 환자를 검사한 결과 혈액 내 중화 항체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말 코로나19에 감염됐던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중 4명에게서 바이러스 기능을 무력화할 수 있는 중화 항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이끈 클레멘스 벤트너 선임 고문은 "연구 결과는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치료된 사람이 다시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산하 충징의과대학 연구팀도 코로나19 감염으로 형성된 항체가 2~3개월 만에 급속히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의 90% 이상이 감염 2∼3개월 후 코로나19 특이 면역 글로불린 G(IgG) 항체가 급격히 감소했다. 중화 항체 역시 IgG만큼은 아니지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항체가 적은 무증상 환자에게서 해당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2일(현지시간) dpa통신에 따르면 독일의 뮌헨슈바빙클리닉은 코로나19에 감염됐던 환자를 검사한 결과 혈액 내 중화 항체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13/20200713070408696810.jpg)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A), 사스 중화항체(B), 메르스 중화항체(C)의 구조[자료=한국화학연구원]
지난 1월 말 코로나19에 감염됐던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중 4명에게서 바이러스 기능을 무력화할 수 있는 중화 항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이끈 클레멘스 벤트너 선임 고문은 "연구 결과는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치료된 사람이 다시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대상자의 90% 이상이 감염 2∼3개월 후 코로나19 특이 면역 글로불린 G(IgG) 항체가 급격히 감소했다. 중화 항체 역시 IgG만큼은 아니지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항체가 적은 무증상 환자에게서 해당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