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세미나에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아세안 8개국 대사관의 상무관들이 참석해 코로나19 이후 소비 심리 변화 및 시장전망에 대해 강연했다. 이어 한-아세안센터에서 아세안 비즈니스 기회와 진출 전략을 소개했다.
신승관 무협 전무이사는 “아세안은 글로벌 생산거점이자 신흥 소비시장으로 우리나라의 미·중에 대한 높은 수출 의존도를 낮출 교역 다변화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면서 “아세안 시장의 변화를 업계와 빠르게 공유하기 위해 지역 간 민관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칵 뚜엔 팜 베트남대사관 일등 서기관은 “전 세계적 코로나19 확산 중에도 베트남의 올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하며 마이너스 성장을 피했다”면서 “향후 베트남에서는 정보통신(IT), 전자제품, 전자상거래와 전자물류, 소비재 등 4대 산업이 유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13/20200713203609723923.jpg)
한국무역협회가 13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뉴노멀 시대의 아세안 시장환경 및 비즈니스 기회 세미나’에서 신승관 무역협회 전무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무역협회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