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임대주택과 국·공립 어린이집이 친환경·에너지 고효율 건물로 지어진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곳곳에 숲도 조성한다.
정부가 14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보면 그린 뉴딜을 위해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
우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도록 도시·공간·생활 인프라를 녹색 친화적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30조1000억원(국비 12조1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38만7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정부가 14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보면 그린 뉴딜을 위해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
우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도록 도시·공간·생활 인프라를 녹색 친화적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30조1000억원(국비 12조1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38만7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공공건물에 신재생 에너지 설비와 고성능 단열재 등을 사용해 친환경·에너지 고효율 건물을 확대한다. 공공건물에는 공공 임대주택(22만5000호)과 국·공립 어린이집(440개소), 문화시설(1148개소) 등이 해당한다.
학교에도 친환경·디지털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태양광과 친환경 단열재를 설치한다.
아울러 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인다. 도시 기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종합진단을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총 25개 지역에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맞춤형 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해 도심 녹지도 조성한다. 미세먼지 차단 숲(630ha)을 비롯해 생활밀착형 숲(216개소), 학교 부근 어린이보호구역에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자녀안심 그린 숲'(370개소) 등을 계획 중이다.
자연의 생태계 기능 회복을 위해 국립공원(16개소)과 도시공간 훼손지역(25개소), 그리고 갯벌(4.5㎢)을 복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전국 광역상수도(48개 시설)와 지방상수도(161개 지자체) 대상 인공지능(AI)·ICT 기반의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스마트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하수도 관리도 스마트해진다. 2022년까지 지능형 하수처리장 15개를 만들고, 2024년까지 스마트 관망 관리를 통한 도시 침수와 악취 관리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먹는 물관리를 위해선 12개 광역 상수도 정수장을 고도화하고, 노후 상수도를 개량하기로 했다.
학교에도 친환경·디지털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태양광과 친환경 단열재를 설치한다.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해 도심 녹지도 조성한다. 미세먼지 차단 숲(630ha)을 비롯해 생활밀착형 숲(216개소), 학교 부근 어린이보호구역에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자녀안심 그린 숲'(370개소) 등을 계획 중이다.
자연의 생태계 기능 회복을 위해 국립공원(16개소)과 도시공간 훼손지역(25개소), 그리고 갯벌(4.5㎢)을 복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전국 광역상수도(48개 시설)와 지방상수도(161개 지자체) 대상 인공지능(AI)·ICT 기반의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스마트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하수도 관리도 스마트해진다. 2022년까지 지능형 하수처리장 15개를 만들고, 2024년까지 스마트 관망 관리를 통한 도시 침수와 악취 관리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먹는 물관리를 위해선 12개 광역 상수도 정수장을 고도화하고, 노후 상수도를 개량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