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14/20200714170557938987.jpg)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오후 2시 10분 오송 질본 본청에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브리핑에서 “전세계적으로 혈장치료제 개발이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데, 현재 다국적제약사 릴리에서 임상3상을 진행하면서 가장 빠른 상황”이라며 “국내의 경우 완치자들이 열심히 참여를 하면서 이번 주 안으로는 일단 임상시험용 혈장제제를 만드는데 돌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임상시험용 혈장을 제제하는 데만 거의 길게는 한 달 가까이가 소요되기 때문에 제조·공정 자체가 복잡하고 독성검사도 해야 하는 만큼 본격적인 혈장치료제 임상시험은 9월에나 가능하다”며 “9월 초에 시작하고, 연내에 혈장치료제를 확보하는 것이 현재의 목표”라고 덧붙였다.
혈장 치료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에서 항체 및 면역글로블린을 분리·농축해 코로나19 확진자에게 투여하는 방식이다. 완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가 담긴 혈장을 분리해 환자에게 주입한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혈장공여에 390명이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지금까지 182명의 혈장을 채취한 것으로 확인됐다. 통상 혈장치료제 개발은 100~130여명의 혈장이 필요하며,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혈장이 필요하다.
또 방역당국은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내년 말쯤 대량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내년이 가기 전에 국내에서도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하고, 대량생산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그러나 백신은 건강한 사람들에게 놓는 것이기 때문에 효과 이상으로 안전 문제가 매우 중요해 전략‧수급‧운송체계‧접종 우선순위‧안전성 등 부가적인 과제가 너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설령 백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국민 중 일정 수준 이상의 면역도와 방어력을 갖춘 피접종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난제 중의 난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