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장관은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남성 장관이라면 꿋꿋이 업무를 수행하는 장관에게 사진은 누가 찍었나, 최순실이 있다, 문고리가 있다 이런 어이없는 제목을 붙이며 우롱했겠냐"며 이같이 기술했다. 장관의 개인생활을 캐내려는 무분별한 취재와 보도들이 결국 여성 장관이라는 점을 악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검찰과 '친검언론'의 유착관계를 다시 한번 꼬집기도 했다. '검언유착' 사건에 대한 장관의 지휘권 발동에 대응해 대검찰청이 '독립수사본부'를 카드로 제시하는 과정에서 언론에 먼저 내용을 흘렸다는 것이다.
추 장관은 '검찰이 법무부에 입장을 알리기도 전에 언론에 공개했다'면서 "심각한 검언유착"이라고 지적했다.
"해당 법무부 알림 최종안은 장관의 메시지(수명자는 따를 의무가 있음)에 법무부 간부 회의에서 나온 별도의 메시지(총장 건의문 불허)가 추가된 것"으로 "간부들이 공유하는 텔레그램에 이 두 개의 메시지가 올라왔고, 제가 좋다고 한 것을 본 장관 비서실이 통상 하던 대로 전파한 것"이라고 재확인하기도 했다.
이어 "'최순실 만들기 작전'이 안 먹히자 '문고리 작전'이 전개됐다"며 "법무부 과장들에게 '장관이 과장의 대면보고를 받느냐'는 모 언론사의 탐문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 후 '대면보고를 받지 않는 장관'이라는 보도가 나왔다고도 했다.
이를 두고 추 장관은 "장관이 모든 과장의 대면보고를 받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럴 이유도 없다(부서장의 보고를 매번 받고 있기 때문)"며 "그 보도가 100% 오보라고 할 수는 없겠다"고 말하면서도 "그런데 그것이 대검의 독립수사본부 건의를 걷어찬 원인이라며, 정무를 모두 보좌관에게 맡겨둔다고 짜깁기를 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러한 행태를 두고 "솔직한 말로 화가 나기보다는 웃음이 난다"며 "이미 여러 번 겪은 바 있는 흔들기이기 때문"이라고 이러한 언론의 보도 행태를 비꼬았으며, 또 "국정농단 이후 혼란하고 첨예했던 탄핵정국을 지낸 당대표가 누구인지도 떠올렸으면 한다"는 말도 남겼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14/20200714194813572950.jpg)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1일 오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문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