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신원증명(DID, 블록체인 기반 신원증명 기술) 산업을 육성하고 블록체인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민·관이 손을 잡았다. 흩어져 있던 DID 플랫폼을 연동시키고, 다른 신원증명 기술과 연계하기 위한 'DID 표준 정립'이 우선 과제로 꼽힌다.
16일 서울 광화문 S타워에서 '민관 합동 DID 협의체'의 출범을 알리는 킥오프(Kick-off) 회의가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 및 지자체(부산시·경상남도) 인사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금융보안원 등 전문기관 및 4개의 DID 플랫폼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16일 서울 광화문 S타워에서 '민관 합동 DID 협의체'의 출범을 알리는 킥오프(Kick-off) 회의가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 및 지자체(부산시·경상남도) 인사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금융보안원 등 전문기관 및 4개의 DID 플랫폼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해당 플랫폼은 SK텔레콤이 주도하는 '이니셜 DID 어소시에이션'과 아이콘루프가 주도하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라온시큐어가 주도하는 'DID 얼라이언스', 코인플러그의 '마이키핀 얼라이언스' 등이다.
DID는 코로나19 여파로 의료·교육 등의 분야에서 비대면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차세대 신원증명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위·변조 위험성을 낮추고, 신뢰성은 높인 것이 특징이다.
과기정통부는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의 일환으로 민관합동 DID 협의체의 출범을 통해 비대면 경제 인프라로서 'DID 생태계 육성'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민간 기업이 주도해 얼라이언스를 꾸리는 식으로 DID 생태계가 제각기 형성돼왔다. 이로 인해 표준 정립 등 관련 의견이 모이기 힘들었다.
이날 회의는 과기정통부가 DID 생태계를 활성화 방안을 소개하고, 금융보안원이 DID 금융표준을, KISA가 DID 협의체 운영 계획을 발표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지자체와 DID 플랫폼 등 참석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DID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서비스의 기본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국민들이 각각의 플랫폼에 가입하지 않아도 시스템 간 호환 등 연동을 통해 DID 적용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민관이 머리를 맞대자는 취지로 협의체를 구성,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2018년 6월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 발전 전략을 수립·발표했다. 여기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확장하는 방안이 담겼다. 블록체인 도입 7대 분야로 △온라인 투표 △기부 △사회복지 △신재생에너지 △금융 △부동산 거래 △우정서비스를 선정해 산업 육성 디딤돌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DID는 코로나19 여파로 의료·교육 등의 분야에서 비대면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차세대 신원증명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위·변조 위험성을 낮추고, 신뢰성은 높인 것이 특징이다.
과기정통부는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의 일환으로 민관합동 DID 협의체의 출범을 통해 비대면 경제 인프라로서 'DID 생태계 육성'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민간 기업이 주도해 얼라이언스를 꾸리는 식으로 DID 생태계가 제각기 형성돼왔다. 이로 인해 표준 정립 등 관련 의견이 모이기 힘들었다.
이날 회의는 과기정통부가 DID 생태계를 활성화 방안을 소개하고, 금융보안원이 DID 금융표준을, KISA가 DID 협의체 운영 계획을 발표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지자체와 DID 플랫폼 등 참석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DID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서비스의 기본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국민들이 각각의 플랫폼에 가입하지 않아도 시스템 간 호환 등 연동을 통해 DID 적용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민관이 머리를 맞대자는 취지로 협의체를 구성,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2018년 6월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 발전 전략을 수립·발표했다. 여기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확장하는 방안이 담겼다. 블록체인 도입 7대 분야로 △온라인 투표 △기부 △사회복지 △신재생에너지 △금융 △부동산 거래 △우정서비스를 선정해 산업 육성 디딤돌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