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코너에 몰릴 수 있다"…美 증시에 악재 '차곡차곡'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은숙 국제경제팀 팀장
입력 2020-07-20 17: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동성 공급도 한계 있어…추가부양 통과 진통 예상

  • "이미 많이 비싸졌다" 분석…미·중갈등 악재도 여전

미국 증시에 대한 경고음이 다시 커지고 있다. 주식시장은 지난 3월 코로나19발 패닉 이후 강한 반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정부 부양이 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고 우려한다. 뿐만 아니라 일부 지역에서 경제 봉쇄가 다시 강화하면서 지표도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결국 악재에 악재가 겹치면서 향후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일단 코로나19 확산은 가장 선명한 악재다. 패닉장 이후 정부 지원책 등에 힘입어 지난 4개월간 미국 증시는 우상향을 이어왔다. 팬데믹이 종식되지 않는 한 언젠가 급락이 올 수 있다는 경고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규모 유동성을 등에 업은 황소장은 기술주를 중심으로 속도를 줄이지 않았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그러나 미국 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다시 7만 명 내외로 늘면서, 정부의 부양도 슬슬 한계를 맞고 있다. '재정 피로도'가 상당히 누적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양책의 규모를 두고 공화당과 민주당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제때 부양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공화당 소속 존 케네디 상원의원은 19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법안이 언제 나올지, 어떤 내용을 담을지 아무도 모른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주도하는 하원은 지난 5월 사상 최대 규모인 총 3조5000억 달러 추가 부양법안을 가결했다. 그러나 공화당 측은 추가 부양책 규모가 1조 달러 이상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부 공화당 의원 간에도 부양책을 두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악재가 쌓이면서 미국 증시 강세론자인 야데니리서치의에드워드 야데니 대표까지 '급락' 가능성을 경고했다. 야데니 대표가 주식시장 하락에 대한 불안감을 표한 것은 지난 3월만 증시 반등 이후 처음이라고 CNBC는 19일(이하 현지시간) 전했다.

코로나19 환자 급증, 미·중 갈등 재고조 등이 증시를 흔드는 주요인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야데니 대표는 "주식이 더는 저렴하지 않다"면서 "새로 부상한 악재로 인해 증시가 20~30% 급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의 앤드루 시츠 수석 전략가 역시 미국 증시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했다고 비즈니스인사이더는 19일 전했다. 경제 모멘텀 둔화, 코로나 2차 확산, 미국 대선 등이 주가 상승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시츠 전략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지표 개선세가 둔화할 수 있다면서 여러 주에서 경제재개 속도가 늦춰졌기 때문에 향후 고용지표가 일시적으로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증시 하방 압력이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과거에도 대선을 앞두고 증시가 시장 평균을 밑돈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