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21/20200721022124391285.jpg)
[그래픽=연합뉴스 제공]
중화항체는 바이러스 등이 침투했을 때 세포를 보호하는 항체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는 영국 의학저널 란셋에 초기 임상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 형성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면역T세포 증가에 효과를 보였다. 이른바 이중방어막을 형성한 셈이다.
연구진들은 28일 이내에 항체 반응, 14일 이내에 T세포 반응이 일어났다고 보고했다. 이번 임상은 성인 1077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연구진은 큰 부작용은 없지만 피로와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난 경우는 있었다고 밝혔다.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세계에서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편이다. 미국에서 가장 앞서 있는 모더나보다 먼저 3상 임상시험에 돌입해 이르면 올해 9~10월 백신을 출시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이달부터 자원자 8000명을 대상으로 3상 임상시험을 하고 있다.
앤드류 폴라드 옥스퍼드대 수석 연구자는 "이번 임상시험으로 개발 중인 백신의 안정성이 입증됐다"며 "백신 접종이 코로나 바이러스 면역 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백신의 면역 효과 지속시간은 연구가 필요한 상태다.
세계보건기구(WTO)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160개 가량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 연구 중이다. 이중 가장 속도가 빠른 미국 제약사 모더나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초기 임상시험 결과 대상자 전원에게서 중화항체가 형성됐다고 14일 발표했다. 모더나는 이달 말부터 임상3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미 존슨앤드존슨도 22일부터 코로나19 백신의 첫 임상시험에 돌입하며, 10월 말에는 임상3상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백신 개발이 성공한다면 올해 말까지 긴급사용 사례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
영국 정부는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백신 1억개를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21일 아스트라제네카와 모더나 등 주요 백신 개발사들은 미 하원의회에서 백신 개발 현황을 보고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