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스마트팜 사업 뛰어든 LG유플러스 "농업 혁신할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차현아 기자
입력 2020-07-21 0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LG CNS-팜에이트와 협력해 미래형 식물공장 실증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와 LG CNS, 국내 식물공장 관련 기업인 팜에이트가 IT기술을 이용해 소비자에게 안심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팜 사업 추진을 위해 손잡았다.

LG유플러스는 블록체인 솔루션을 보유한 LG CNS, 국내 식물공장 1위 기업인 팜에이트와 협력해 국내 최초로 지하철 상도역에서 '미래형 식물공장'을 공동 실증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를 시작으로 LG유플러스는 생산-출하-유통-배송까지 작물 생산 전 과정을 블록체인에 구현해 소비자에게 안심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식물공장은 최근 도시농업 방식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밀폐된 공간에 인공조명,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 배양액 등을 조절해 24시간, 365일 일정한 생육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환경 제약없이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식물공장은 단위 면적당 작물 생산량은 기존 농지 대비 40배 이상 높다. 도심 내 빌딩, 유휴지, 폐공장, 건물 등을 활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이르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3사가 추진 예정인 미래형 식물공장이 구축되면 작물 재배환경 관리를 스마트폰으로도 할 수 있게 된다. 무선통신과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와 지능형 CCTV, 빅데이터, AI 기술이 접목돼 원격으로도 재배환경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형 식물공장은 냉난방 장치, 양액기를 최적의 조건으로 알아서 제어해준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므로 작물종류와 파종, 생육, 재배와 같은 생산이력과 출하, 배송 등 유통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도 있다.

향후 식물공장에서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작물별 최적의 재배 레시피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환경, 생장 모니터링 센서, 통신 인프라,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기반의 스마트팜 통합관제플랫폼을 제공한다. LG CNS는 블록체인 솔루션인 '모나체인'을 활용한 식품안전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팜에이트는 상도역 내 식물공장 실증 테스트베드와 작물 재배, 운영을 담당한다.

주영준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Lab담당은 "미래형 식물공장 실증 사업을 시작으로 새로운 농업의 미래를 준비하고 농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앞장서겠다"며 "스마트팜의 다양한 사업모델 발굴을 위해 파트너사들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