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24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금융정책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투자자 중심의 펀드 판매와 운용 및 수익률 제고를 위해 판매채널 개선과 운용사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우선 공모펀드 판매와 관련해 은행‧증권사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판매채널이 경쟁하는 환경을 만든다. 다양한 판매사를 비교할 수 있는 통합자문 플랫폼을 활용하고, 온라인 펀드판매가 늘어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또 다양한 투자자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외화표시 머니마켓펀드(MMF)와 주식형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도힙할 예정이다. 펀드운용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불필요한 보고‧공시 등도 줄인다.
또 일반 투자자가 자본시장 참여시 우대받을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개인 투자자들의 공매도시장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주식대주시장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차입 공매도 제약요인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로 금융위는 지난 3월 13일 공매도를 6개월간 금지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 바 있다. 주식시장 하락폭이 공매도로 인해 더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 탓이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공매도 비중이 높아 그간 개인 투자자들은 공매도에 대한 불만이 높았다.
실제 지난 3월 13일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이뤄진 공매도 거래금액은 32조7083억원으로 그 중 외국인(55.1%)과 기관(43.7%)이 98.8%였다. 개인투자자는 1.2%에 그쳤다.
개인 투자자들의 공매도가 활성화 될 경우 그간 주가하락으로 피해를 본 개인들도 위험 헤지(Hedge)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활성화 방안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23/20200723174851903650.jpg)
[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