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23/20200723204828123508.jpg)
대구공항 야경. [사진=대구시청 제공]
대구공항은 지방공항 활성화의 모범사례로 기록될 만큼 폭발적인 성장(2019년 이용객 : 약 467만명)을 해왔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3월 국제선 운항이 중단되는 등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해외여행자들에 자가격리 2주 의무가 해제되지 않는 이상, 국제선 운항이 활성화되기 힘든 현실을 고려해 대구시는 한국공항공사(대구공항)와 국내선 유치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기존 제주노선 이외에 김포노선(7.31.취항)과 양양노선(8.14.취항)을 개설해 주 242편의 제주노선과 주 40편 김포노선 및 주 6편 양양노선을 확충으로 공항경쟁력을 높여 대구시민의 하늘길을 더욱 넓혔다.
또한, 대구시는 문화공항 브랜드 제고를 위해 2019년 하반기부터 ‘소음이 아닌 음악이 흐르는 공항’이라는 모토로 웃는얼굴아트센터(19.10.18)와 수성아트피아(19.10.25)의 ‘찾아가는 콘서트’ 형식의 ‘대구공항 로비 음악회’를 개최해 공항 이용객과 공항 상주기업 및 직원들에게 음악 콘텐츠로 즐길 수 있는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한 바 있다.
올해도 전방위독립문화예술단체 (사)인디053과 한국공항공사(대구공항)간의 MOU체결을 지원해 하반기 중 대구공항에서 공연 등의 이벤트를 개최하고, 올 하반기 개최 예정인 지역 행사, 축제 등의 부대행사를 유치해 대구공항이 문화공항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최현숙 대구시 공항정책과장은 “항공업계가 사상 최악의 위기속에서 힘들게 버티고 있는 상황을 벗어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함께 각종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