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분자진단과 항체 신속진단 기술에 이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육안으로 진단할 수 있는 '항원 신속진단기술'을 개발했다. 코로나19 검진에 들어가는 시간을 15분 수준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한국화학연구원 김홍기 박사 연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양한 항체들을 제작하고 이를 활용해 항원 신속진단기술을 개발했다.
항원 신속진단기술이란 항원-항체 결합반응을 활용하여 임신진단키트처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15분 내외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분자진단(PCR)과 병행 시 코로나19 감염환자를 현장에서 보다 쉽고 빠르게 찾아내 현장 의료진의 업무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항원 신속진단키트는 채취한 검체 시료를 샘플패드에 흡수시키면 시료가 이동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경우 발색 나노입자를 포함한 항체와 바이러스 항원이 결합해 육안으로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신속진단키트 개발을 위해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우수한 항체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번에 개발된 항체 및 신속진단기술은 7월 27일 기술이전 계약체결을 완료하여, 연내 개발완료를 목표로 신속하게 제품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한국화학연구원 김홍기 박사 연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양한 항체들을 제작하고 이를 활용해 항원 신속진단기술을 개발했다.
항원 신속진단기술이란 항원-항체 결합반응을 활용하여 임신진단키트처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15분 내외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분자진단(PCR)과 병행 시 코로나19 감염환자를 현장에서 보다 쉽고 빠르게 찾아내 현장 의료진의 업무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항원 신속진단키트는 채취한 검체 시료를 샘플패드에 흡수시키면 시료가 이동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경우 발색 나노입자를 포함한 항체와 바이러스 항원이 결합해 육안으로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이번에 개발된 항체 및 신속진단기술은 7월 27일 기술이전 계약체결을 완료하여, 연내 개발완료를 목표로 신속하게 제품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7/30/20200730153841172726.jpg)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신속진단 기술 모식도.[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