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직장은 없다]직장인 변화상 ‘긱경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현상철 기자
입력 2020-08-03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게티이미지뱅크]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공통점은 ‘변화’다. 개인의 능력에서 인공지능(AI)으로, 콘택트에서 언택트로 모든 방식이 전환됐다. 여기서 더 나아간 미래모습은 사실상 예측이 불가능해지면서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의 불안감은 커졌고, 덩달아 ‘월급쟁이’는 평생직장의 꿈을 강제로 내려놓게 됐다. ‘긱경제’(Gig Economy)는 이런 월급쟁이의 빈틈을 파고들었다.

긱경제는 필요에 따라 사람을 구해 일을 맡기는 형태를 말한다. 노동자는 특정 집단에 소속돼 있지 않다. 기업도 프로젝트에 따라 필요 인력을 뽑고, 이를 완수하면 해산한다. 기존 기업의 봉급체계는 적용되지 않는다. 일종의 프리랜서로 보면 된다. 뉴욕타임즈는 이를 ‘인스턴트 급여’라고 표현했다.

우리나라에선 안정적이고 꾸준한 소득인 ‘월급날’이 없고, 고용이 불안하다는 이유로 ‘회색지대’로 여겨져 왔다. 불완전고용은 경제 불안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랫폼과 결합하자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배민 라이더, 우버의 드라이브 파트너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기업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은퇴한 시니어 전문가를 임시로 고용하는 형태로까지 발전했다. 저임금·비정규직 근로자라는 인식에서 틈틈이 용돈을 벌 수 있는 단기성 아르바이트로, 앞으로는 고용의 빈틈을 채워주는 방식으로 재해석돼 노동시장에 적용되는 모양새다.

특히, 삶의 여유를 찾는 사람이 많아졌고, 시간·장소에 구속된 평생직장 개념이 흐릿해지면서 극도로 유연한 노동시장 형태인 ‘긱경제’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개인 행복과 경제 성장을 연결하는 관건이 됐다. 컨설팅 그룹 맥킨지 조사에 따르면, 미국·유럽 성인의 20~30%는 독립근로자로 나타났고, 이들 대부분은 ‘현실에 행복하다’고 답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플랫폼 노동자 수는 54만명으로 추산된다. 플랫폼 노동자는 배민 라이더나 우버 드라이버같이 플랫폼을 통해 단기 근로를 하는 이들을 말한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6~64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6명은 평생직장 개념이 존재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긱잡’(Gig Job)으로 직업을 여러 개 갖는 ‘N잡러’ 시대가 올 수 있다는 것이다.

홍기용 인천대 교수는 “특별한 변화의 시기 새로운 산업이 탄생하고 기술이 발전하며 적용되는 과정에서 ‘긱잡’ 같은 직업군이 필요하다”며 “이후 신산업이 하나의 산업이 되면 정규직화된다. 긱잡은 변화의 과정에서 인력 수급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