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집중호우가 계속되면서 중부지방에서만 11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1∼2일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피해는 이날 오후 4시 30분 현재 사망 11명, 실종 13명으로 집계됐다. 충북에서 4명이 숨지고 소방대원 1명 등 8명이 실종됐으며, 경기와 서울에서 각각 6명, 1명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재민은 충북 473명, 경기 339명, 강원 6명으로 모두 818명에 달한다. 사망자는 주로 산사태로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비는 오는 5일까지 지속될 전망이어서 피해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집중호우가 멈추더라도 7일까지는 강한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으며, 장맛비는 12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신제품 출시 없이 북미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였다. 화웨이, 샤오미, 오포 등 중국 브랜드 수요가 급감하면서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분석된다.
3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LG전자는 올해 2분기 북미 스마트폰 시장에서 13.9%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12.6%) 대비 1.3% 포인트, 작년 동기(13.6%) 대비 0.3%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LG전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V60 씽큐'와 중저가폰이 북미시장에서 중국 스마트폰의 빈자리를 메웠다고 설명했다.
실제 중국 브랜드는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큰 폭으로 점유율이 추락하고 있다. TCL은 작년 동기 7.9%에서 올해 2분기 5.3%로 하락했고, 화웨이의 북미 점유율은 0.2%, ZTE는 1% 미만으로 하락했다.
▲트럼프 "45일 안에 틱톡 넘겨라"...中 SNS 압박 수위 높이는 美백악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틱톡에 대한 압박 수위를 한껏 높이고 있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 인수 협상을 불허하려던 움직임에 이어 45일의 협상 기한을 제시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는 해당 사안에 대한 익명의 소식통 2명을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매각 시한으로 45일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대해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공식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백악관이 미국 내 틱톡 퇴출 시한을 45일로 못 박은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는 앞서 MS 측이 성명을 통해 틱톡에 대한 인수협상을 다음 달 15일까지 마무리 짓겠다고 밝힌 미국 경제매체 CNBC의 보도와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다.
▲트럼프, 대선 불복?..."회심의 카드는 코로나19 백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평화롭게 백악관을 넘겨주지 않을 것이라고 제임스 클라이번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가 주장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클라이번 총무는 2일(현지시간) CNN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을 떠날 생각도, 공정하고 자유로운 선거를 치를 생각도 없다"며 맹공을 펼쳤다. 그러면서 "나는 그가 백악관에 붙어 있기 위해 일종의 비상 방식을 동원할 계획을 짜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에 트위터를 통해 우편투표가 부정선거에 악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대선 연기론을 띄우며 워싱턴을 발칵 뒤집어 놓은 뒤 나온 것이다.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편투표=부정선거'라는 프레임을 씌우는 게 대선 결과에 불복하기 위한 명분 쌓기라는 해석도 나왔다.
▲'어쩌다 이렇게까지'...뉴질랜드 성추행 외교관 사건 일지
뉴질랜드 정부가 성추행 혐의를 받는 한국 외교관 A씨에 대해 본국 소환을 요구하는 등 연일 대한(對韓)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총리와 외교부 장관에 이어 부총리까지 나서 "떳떳하면 당사자가 뉴질랜드에서 조사를 받으면 될 일"이라며 뉴질랜드 정부가 최고위급 차원의 압박을 계속해 가하는 모양새다. 3일 외교가에 따르면 현지 언론 '뉴질랜드헤럴드'는 자국 정부가 한국에 성추행 혐의를 받는 외교관 A씨를 보호하지 말고 현지에서 사법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압박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헤럴드는 뉴질랜드 총리 등이 한국에 거듭 실망감을 표시했다고 언급, "이 문제는 이제 한국 정부가 앞으로 어떤 조처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