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시설에서 지내는 게 친구랑 저녁 먹는 것보다 안전하다. 임시생활시설을 운영하는 동안 단 한 명의 감염자도 없었다.”(고득영 중앙사고수습본부 해외입국관리반장)
“문 앞에 포스트잇으로 일반식 등을 구분해 놓죠.”(시설 지원 관계자)
인천시 중구 영종도에 위치한 외국인 임시생활시설은 인천공항과 5분 거리다. 임시생활시설은 발열이나 기침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없는 입국자 중 우리나라에 일정한 거주지가 없는 사람이 14일간 격리 생활을 하는 장소다. 어느 시설에 몇 명의 외국인이 갈지는 매일 공항에서 유증상자와 무증상자를 구분한 후 임의로 분배한다.
우선 국내 입국자들은 공항에서 버스를 타고 이동한다. 이때 이송 가능한 인원은 최대 20명이다. 45인승 규모의 버스지만 거리두기를 준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버스에서 내려 1층 입구를 바라보면 노란선과 오렌지선이 보인다. 노란선 안쪽은 클린존으로 방문객과 지원팀이 다니는 길이다. 오랜지선 안쪽은 레드존이다. 외국인 입소자들은 바깥에서부터 거리두기를 지키면서 일렬로 줄을 서서 들어간다. 시설 입구에서 레벨D방호복을 갖춰 입은 의료진이 발열체크를 하고 검체채취를 하는데 1명당 2분 남짓 걸린다.
로비로 들어가면 문진표와 시설격리 동의서를 작성해야 한다. 2인씩 앉을 수 있는 책상 4개가 줄지어서있다. 문진표는 영어로 쓰여 있는데,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지 약을 복용 중인지 등을 적게 돼 있다. 문진표를 작성하면서 자가격리앱도 설치한다. 핸드폰이 없는 경우엔 매일 수기로 작성해야 한다. 동의서는 8개 국어(한국어‧영어‧필리핀 등)로 돼 있다.
문진표와 동의서를 작성하면 섹션 1~4 코너를 차례로 돌아야 하는데 바닥에 초록색과 빨간색 테이프로 동선이 안내돼 있다. △섹션 1에선 공중보건의가 문진표를 확인하며 △섹션 2에선 법무부에서 지켜야할 규칙 등을 설명하고 격리 기간을 체크하고, △섹션 3에선 복지부에서 자가격리 동의서를 회수하고 여권을 스캔해 신원을 확인한 후 손소독제‧마스크‧체온계가 담긴 박스와 쓰레기봉투를 나눠주고 방을 배정한다. 마지막으로 섹션 4에선 시설 이용에 대한 수납을 진행하는데 비용은 1인당 12만원씩, 14일에 총 168만원이다. 수납하면서 일반식 등 식사를 선택을 할 수 있다.
식사는 1일 3식으로 시설에서 조리한 도시락을 제공받는다. 국방부 직원이 도시락 받아서 물품과 함께 해당 호실로 배달을 하는 역할을 하는데 현재 16명의 인력으로 운영 중이다.
객실의 경우 25㎡에 침대 2개가 놓인 일반 호텔 객실 모습 그대로였다. 객실에 한 번 들어가면 격리 기간이 끝날 때까진 외부로 나올 수 없어, 세탁도 방 안에서 비누로 직접 해야 한다. 1인 1실이 원칙이며, 만 12세 이하는 원하면 보호자와 함께 방을 쓸 수 있다. 문 앞에 곳곳에 일반식 등을 구분하는 포스트잇이 붙여 있다. 입소자들은 민원이 있으면 지원단에 전화로 내용을 전달한다.
폐쇄회로(CC)TV는 복도에만 설치돼 있다. 한 층에 6대씩, 8개 층 복도 전체에 설치된 것만 해도 총 48대다. 2층 상황실에서 24시간 교대 하면서 복도 CCTV를 통해 입소자들을 감시, 입소자가 복도로 나오면 자동으로 감지해서 안내 방송이 나온다. 임시생활시설에서 외국인 무단이탈 사례가 두 달 새 잇따라 발생하면서 시설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라 시설 관계자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김우균 국방부 군상황실장은 “2인 1조로 2시간씩 근무한다. 16명이 CCTV 감시 및 식사지원 업무 병행하고 있는데 식사지원업무 1시간30분정도를 제외하곤 CCTV 임무를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고득영 중수본 반장은 “국내에서 생활시설 운영하는 건 국민의 안전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외국인들을 왜 우리 시설에서 보호하느냐고 오해하시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주민들, 우리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