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자신이 직접 작성한 사과문을 '민주의 문' 앞에서 낭독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광주에서 그런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그것을 부정하고 5월 정신을 훼손하는 일부 사람들의 어긋난 바람과 행동에 저희당은 더욱 엄중한 회초리를 들지 못 했다"면서 "저희당의 일부 정치인들까지 그에 편승하는 듯한 태도까지 보였다. 표현의 자유라는 명목으로 엄연한 역사적 사실까지 부정할 수는 없다. 그동안의 잘못된 언행에 당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진실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아울러 "위법행위에 직접 참여하는 것도 잘못이지만 알고도 침묵하거나 눈 감은 행위, 적극 항변하지 않은 소극성 역시 작지 않은 잘못이다"라며 "역사의 법정에서는 이것 또한 유죄"라고 했다. 전두환 정부 당시 국보위 참여 전력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사과문을 읽으며 울먹이기도 했다. 이후 그는 추모탑에 헌화를 한 뒤 15초가량 무릎을 꿇고 묵념을 했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무릎을 꿇고 참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노 후보는 "우리 모두 순간의 감정을 자제하고 이성을 찾아서 냉철하게 생각하고 행동하자"며 "화염병과 돌이라는 폭력 앞에는 절대로 굽히지 않을 것이다. 여러분이 던지고 있는 화염병과 돌은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화염병이며, 민족을 분열시키는 돌멩이"라고 해 성난 민심에 부채질을 했다. 노 후보가 투명한 방패를 든 경호원들의 호위를 받으며 광주 시가지에서 유세를 하는 사진은 되레 지역감정을 부채질, 그의 정치적 기반이었던 대구·경북(TK) 유권자들의 표심을 결집시키는 계기가 됐다.

[사진=오픈아카이브]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도 있다. 2017년 5월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던 정우택 전 의원은 5·18 기념식에 참석했지만,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지 않았다. 정 전 의원은 당시 "5·18민주영령에 대한 추념의 마음은 변함없다"면서도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항이라고 생각해 부르지 않았다"고 했다.
반면 2015년 5월 당시 새누리당 대표였던 김무성 전 의원은 문재인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5·18 기념식에서 나란히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김 전 의원은 "'임을 위한 행진곡’은 과거 민주화 투쟁 시절 저 자신이 하루에도 몇 번씩 부른 민주화 투쟁 주제가였는데 가사 어디에도 반국가적, 친북적 내용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고 말한 적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