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연합뉴스]
인크루트가 최근 직장인 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장인들이 재택근무를 한 시기는 코로나19 이전(18.2%)에 비해 코로나19 이후(81.8%)가 네 배 이상 높았다. 또한 재택근무를 경험했다는 직장인의 77.0%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재택근무가 만족스러운 이유는 출퇴근 시간 절감(28.1%), 미팅 관련 이동시간 절감(10.3%), 불필요한 회의 감소(15.2%), 비대면 근무방식의 효율성(15.9%) 등 업무와 관련한 응답이 41.4%를 차지했다. 이 밖에 감염우려 최소화(17.4%), 업무와 가사, 육아도 가능(12.5%) 등의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재택근무 경험자들의 높은 만족도와는 별개로 이에 따른 위화감도 확인됐다. '재택근무가 직장인 불평등을 확대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81.2%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직장인마다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여건이 각각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 중소업체 직원은 "우리는 대기업과 달리 납기를 맞춰줘야 수금이 된다"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조금 위험한 상황이지만 이렇게 나와서 일을 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불안한 경기 전망 속에 근무 단축과 재택근무로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기업들이지만 양극화된 근무 환경 격차도 선명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공공기관의 재택근무 인원도 7만5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서 감염 차단을 위한 재택근무가 확산한 데 따른 것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정부 각 부처 산하 공공기관 363곳의 재택근무 인원은 총 7만4681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재택근무 인원(1408명)의 53배에 달하는 것이다. 올해 2분기 공공기관 임직원(정원 기준)이 42만108명인 것을 고려하면 5.6명당 1명꼴이다. 상반기 재택근무 인원이 가장 많은 공공기관은 한국토지주택공사로 6800명이고 그다음으로 한국전력공사(5532명), 한국수력원자력(4673명), 한국도로공사(3604명), 국민연금공단(3206명) 순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