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산은 전날 이메일을 통해 12주간의 재실사를 요구하는 입장을 KDB산업은행 등 아시아나 채권단에 전달했다.
앞서 이뤄진 최고경영진 간 회동에도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은 것이다. 지난달 26일 이동걸 산은 회장과 정몽규 현산 회장은 직접 만나 아시아나항공 매각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이 회장은 인수 가격을 1조원 깎아주는 방안을 제시한 걸로 알려졌다. 산은과 현산이 1조5000억원씩 공동투자해 부담을 완화해주는 식이다.
이번 답변에 채권단은 실망감이 역력한 모습이다. ‘12주 재실사’는 이미 한 차례 거절 의사를 밝힌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채권단 내부에서는 ‘매각 결렬’이란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계약 해지가 현실화되면, 아시아나는 산업은행을 주축으로 한 채권단 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이후 채권단과 아시아나는 곧바로 기간기금을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총 금액 규모는 연말까지 최대 2조원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국유화로 이어지는 수순이다.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사를 사겠다는 기업이 나타날 가능성은 극히 낮고, 산은은 ‘국유화’ 외 선택할 대안이 없다.
이 경우 시장에서는 산은이 과거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과정에 썼던 시나리오를 또 한 번 활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먼저 강도 높은 구조조정 또는 사업재편을 통해 부실 자산을 털어낸 뒤, 향후 산업이 정상화되면 재매각에 나서는 수순이다. 구조조정이 일어난다면 사무직→승무원→조종사 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자회사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은 우선 매각 대상이다.
그러나 국유화로의 국면 전환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다수의 관계자들은 이후 발생할 기대효과보다는, 위험부담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반복적 ‘혈세 낭비·특혜 시비’ 등에 대한 경계감이 높다.
한편 현산은 작년 11월 아시아나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고, 12월 금호산업과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인수 금액은 2조5000억원이었다. 이후 코로나19란 변수로 아시아나가 심각한 자금난에 빠지면서 상황이 급반전됐다. 채권단은 올해 4월 운영자금 1조7000억원을 긴급 수혈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