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에 대한 공모를 9일부터 시작한다.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지난 7월 14일 발표된 그린뉴딜의 8개 추진과제 가운데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한 대표 사업이다. 이를 통해 기후·환경 위기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환경도시를 구현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80일 동안 공모가 진행된다. 오는 11월 30일 접수가 마감되면, 서면·현장·종합평가를 거쳐 12월 말에 우수한 지역 맞춤형 기후대응·환경개선 사업 계획을 제안한 25개 지역을 선정한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2년동안 시행된다. 총 사업 규모는 2900억원에 달한다. 국고와 지방비가 각각 60대 40으로 투입된다.
10개 사업유형은 △기후탄력 △물순환 △물안전·안심 △미래차 △자원순환 △생태복원 △생태휴식 △청정대기 △환경교육 △생활환경 등이다.
25개 지역은 사업목적과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해 '문제해결형' 20곳과 '종합선도형' 5곳으로 구분해 선정한다.
'문제해결형'은 도시의 기후·환경 문제해결을 위해 2개 이상의 사업을 결합해 마을(커뮤니티) 단위 수준에서 파급성이 높은 아이디어 발굴을 목표로 한다. 지역별 총사업비는 2년간 최대 100억 원으로, 국비 60억 원, 지방비 40억 원이 투입된다.
'종합선도형'은 도시의 기후·환경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도시공간의 선제적인 녹색전환을 위한 대표사례 발굴을 목표로 마을(커뮤니티) 혹은 그보다 큰 지역을 대상으로 3개 이상의 사업을 결합하는 유형이다. 지역별 총사업비는 2년간 최대 167억 원으로, 이중 국비 지원이 100억 원, 지방비가 67억 원이다.
환경부는 공모기간에 지자체의 사업계획 작성을 돕기 위해 스마트 그린도시 지원단을 운영해 상시 자문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업의 현실성과 전문성을 한층 높여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