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강국 美·日도 반한 네이버-카카오 ‘K웹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명섭 기자
입력 2020-09-08 15: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네이버웹툰 '노블레스', 내달 7일 韓·美·日 동시 방영

  • 카카오 '픽코마' 日서 비게임 앱 매출 1위... 거래액 전년비 2배 이상 증가

  • 전문가 "기술 변화 빠르게 수용한 것이 K웹툰 성공 비결"

 

네이버와 카카오가 서비스하는 웹툰이 세계 최대 만화 시장인 미국과 일본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네이버의 인기 작품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돼 미국과 일본에 동시에 방영되고, 일본 시장에서 카카오의 웹툰 서비스 실적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네이버와 카카오가 모바일에 최적화된 만화 서비스를 가장 먼저 시도한 것처럼, 기술의 변화를 빠르게 수용한 점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입을 모은다. 

8일 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의 인기 웹툰 ‘노블레스’의 애니메이션이 내달 7일 미국과 일본, 한국에 동시 방영된다. 네이버웹툰의 웹툰 IP(지적재산권)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는 건 ‘신의 탑’, ‘갓 오브 하이스쿨’에 이어 세 번째다.

노블레스는 액션 판타지 장르의 웹툰으로, 국내에서 네이버웹툰 플랫폼을 통해 2007년 12월부터 11년간 연재된 작품이다. 글로벌 누적 조회수는 46억건에 달한다. 이번 애니메이션은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프로덕션 I.G’가 맡고, 글로벌 투자·유통은 미국 유명 콘텐츠기업 크런치롤이 맡았다. 이는 크런치롤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미국과 남미, 유럽에 방영되고, 일본에선 TV채널 도쿄MX, BS11를 통해 방영된다.

2000년대까지 국내 서비스에 집중하던 네이버웹툰은 2013년에 일본 시장에 진출했고 2014년부터 영어와 대만어로 글로벌 웹툰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재 네이버웹툰은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글로벌 월간 이용자 수(MAU)는 한국 인구보다 많은 6000만명을 기록했고, 지난달 6700만명까지 늘었다. 네이버웹툰은 올해 목표치인 MAU 7000만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노블레스' 애니메이션 일본 방영 이미지[사진=네이버 제공]

이용자 수 증가는 결제액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기준, 네이버웹툰의 월 거래액이 처음으로 80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 5월 월간 거래액이 700억원을 넘어선 이후 3개월 만이다. 네이버웹툰은 올해 연 거래액 8000억원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카카오는 일본 만화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일본 만화 플랫폼 ‘픽코마’는 지난 7월 기준, 일본 양대 앱마켓에서 비게임 부문 통합 매출 1위에 올랐다. 2016년 4월에 픽코마 서비스를 시작한 지 약 4년 만이다. 픽코마 내 매출 상위 10개 중 절반 이상이 한국 웹툰이다. 이 중 ‘나 혼자만 레벨업’이란 작품은 일본에서 하루 최대 100만명이 열람할 정도로 큰 인기다. 이에 힘입어 올해 2분기 픽코마의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올랐고, 지난해 4분기부터 시작된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 웹툰이 만화 강국인 미국과 일본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던 것은 기술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애니메이션의 본고장인 일본에서 한국의 웹툰이 선전하고 있는 것은 혁명적인 변화”라며 “콘텐츠 시장에서도 기술의 변화와 혁신으로 후발자가 선발자를 앞서는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래픽=김효곤 기자]



 

카카오 일본 만화 플랫폼 '픽코마' [사진=카카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